갤러리 같은 99㎡의 아파트

회화 작품과 아트 퍼니처가 어우러진 지익스비션 정승진 대표의 갤러리 같은 집을 찾았다.1 큼직한 가구들을 놓아 시원스럽게 꾸민 거실. 2 유독 초상화를 좋아하는 정승진 대표가 아끼는 작품 중 하나. 3 뉴욕에서 활동하는 김세나 작가가 만든 퍼 스툴은 탄성이 좋고 촉감이 보드라워서

진정한 휴식처가 된 79㎡의 아파트

진정한 힐링이란 바로 집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는 메이크업 아티스트 박이화. 나를 찾고 삶을 달래는 휴식의 집의 문을 열었다.1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박이화. 2 학창 시절 우상이었던 서태지와 관련된 물건과 당시 사용했던 삐삐는 부모님 집에서 가져왔다. 3 외국에서 사온 개성 있는 소품들이

Green With Everything

그린은 봄의 컬러다. 아몬드, 박하, 이끼, 아스파라거스. 거기에 영국식 정원과 야생의 연초록 잔디, 오팔이나 에메랄드까지 모두 근사하다. 어디에든 잘 어울린다.POP LIME1 아르데코에서 영감을 얻은 헤링본 패턴의 벽지 ‘아스토리아 Astoria’는 5가지 컬러로 만날 수 있다. 오스본&리틀 Osborne&Little 제품으로 10m×52cm, 롤당 120유로.

집주인을 닮은 아파트 인테리어

산림교육 전문가 정영란 씨의 178㎡의 아파트 거실은 시원하고 넓다. 그곳은 그녀가 꿈꾸는 것들을 펼치는 삶의 무대다.1 작은 홀로 사용되는 거실. 베란다를 확장해 좌식 공간을 만든 것이 인상적이다. 2 산림교육전문가이자 약사를 겸하고 있는 정영란과 아이에스 디자인의 김인선. 3 거실로 향하는 복도. LED조명을

홈 드레싱으로 완성한 아파트

고치기도, 안 고치기도 애매한 아파트. 컬러와 패브릭을 주재료로 틀을 깨는 아이디어만 있다면 보다 수월하게 개성 있는 홈 드레싱에 성공할 수 있다. 바로 이 집처럼.1 광주의 패피로 이름난 임애리 씨. 2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한 거실. 루이스 폴센 콜라주 조명을 비롯해 가리모쿠

Load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