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스의 여인

마티스의 여인

마티스의 여인

휴대폰 케이스, 에코백, 포스터 등 최근 마티스의 드로잉이 유행이다. 그냥 그렇게 상품만으로 만나기에는 너무도 위대한 마티스에게는 리디아라는 조력자가 있었다.

 

러시아 생 페테스부르그 에르미타주 미술관 마티스 전시실. ianartconsulting

 

떠나고 싶어도 떠날 수 없는 요즘, 여행의 기분이라도 느낄 수 있는 소품을 주변에 두는 것은 정서적으로큰 도움이 된다. 예술가라고 다르지 않았다. 젊은 시절 모로코와 폴리네시아 등 각국을 여행하며 따뜻한 빛과 색을 작품에 담은 마티스는 어느 더운 여름날, 자신의 방에 직접 수영장을 만들겠다고 결심한다. “나는 항상 바다를 좋아하는데, 지금은 수영을 할 수 없으니 바다에 둘러싸인 채 있겠다”는 생각이었다. 83세의 나이로 더 이상 붓을 들 수 없는 건강 상태였지만, 색종이를 오려서 붙이는 방식으로 작업을 이어가던 때였다. 파란 하늘과 파란 바다와 갈매기와 물고기까지 마티스의 손에서 쓱쓱 만들어진 파란 이미지들은 눈높이에 맞춰 방의 네 면에 띠처럼 둘러졌다. 이 작품은 현재 뉴욕현대미술관 및 남프랑스의 마티스 미술관에서 볼 수있다.두 미술관 모두 마티스가 머물렀던 방과 같은 크기의 전시실에 작품을 설치했다.

 

프랑스 니스 마티스 미술관. ianartconsulting

 

러시아 모스크바 푸시킨 미술관 마티스 전시실. 모로코 여행 후의 작품들. ianartconsulting

 

이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큰 도움을 준 사람은 말년에 모델에서 스튜디오 매니저 역할을 했던 러시아 여인 리디아 델렉토스카야Lydia Delectorskaya(1910~98년)다. 리디아는 혁명기에 의사였던 부모님을 잃고 친척집에서 생활하다 의사의 꿈을 품고 프랑스 소르본 대학에 진학하고자 했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우선 니스에 정착해 마티스의 집안일을 돕는 것으로 생활을 시작했다. 마티스가 ‘차가운 공주’라고 불렀던 리디아는 아름다웠고 똑똑했다. 처음에는 모델 일을 거부했지만, 모델이 되고 나서는 단지 포즈만 취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작품을 어떻게 완성해나가는지 관찰했고 기록으로 남겼다. 그 기록이 오늘날 마티스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된 것은 물론이다. 마티스는 직접 모델을 앞에 두고 그리기를 좋아했고, 아내와 딸을 비롯해 수많은 모델을 세웠다. 작품에 모델 이름을 넣지 않았고, 어떤 작품이 리디아를 그린 것인지 기록이 불분명하기도 하지만, 리디아를 대상으로 90점이 넘는 유화를 남겼고 드로잉과 스케치까지 더하면 셀 수 없을 정도다. 리디아는 다른 모델들의 스케줄을 정리했고, 마티스의 작품을 판매하는 딜러들과의 협상을 중재했으며, 점차 건강을 잃어가는 그를 위해 작품의 뒷정리 등 많은 부분을 담당했다.

 

마티스의 ‘춤’. 뉴욕현대미술관. 1909년(처음 버전) 259.7×390.1cm. wikipedia

 

안타깝게도 마티스의 아내와 딸은 리디아를 경계하고 해고하기도 했으며, 특히 마티스가 사망한 이후에는 그녀를 내쫓았다. 그러나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는 수많은 작품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리디아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그녀는 자존심을 접고 존경하는 화가 마티스를 위해 다시 그 집으로 돌아와 일을 마무리했다. 마티스가 죽기 전날, 그는 그녀를 앉혀놓고 마지막 초상화를 그렸다고 한다. 1954년 마티스가 85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을 때, 1932년 22살의 나이로 그 집에 들어온 리디아도 40대가 되었다. 마티스는 자신에게 젊음을 바친 그녀를 위해 많은 작품을 선물로 주었다. 그러나 리디아는 작품을 파는 대신 자신의 고국 생 페테스부르그의 에르미타주 미술관에 기증했다. 자존심 있는 우아하고 똑똑한 여자의 대단한 선택이다. 핸드폰 케이스로도 인기를 끄는 마티스의 여인 초상화는 바로 이 위대한 여성 리디아를 그린 작품일 것이다.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주방,집 안의 중심이 되다

주방,집 안의 중심이 되다

주방,집 안의 중심이 되다

음식을 만든다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식사나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고, 때로는 작업대처럼 다양한 기능을 지닌 주방 가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요즘이다.

 

 

유앤어스에서 론칭한 이탈리아 명품 주방 가구 브랜드 아크리니아 Arclinea는 주방에 로망이 있는 이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기 충분하다. 아크리니아는 브론즈 컬러를 입힌 스틸 소재나 움푹 파여있는 손잡이 디테일, 투명 유리로 가림막을 한 히든 후드 등 장식적인 동시에 실용적인 요소가 두드러진다. 안토니오 치테리오가 디렉팅한 주방 브랜드답게 정갈한 자태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모두스 시스템을 탑재한 폴딩 도어는 나무 문을 닫아두면 가구처럼 보이고, 문을 열면 천장까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한 세련된 주방이 나온다. 쇼룸에 전시한 3가지 주방 가구는 가족을 주방으로 모이게 하는 데 최적의 기능과 구조를 갖추었다.

tel 02-6335-6299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한국 미술의 도약

한국 미술의 도약

한국 미술의 도약

변화와 비상. 화랑미술제는 두 가지 재료로 한국 미술의 현재와 미래를 그렸다.

 

다양한 작품으로 부스를 구성한 갤러리 현대.

 

<메종>도 이번 화랑미술제에 미디어 스폰서로 참여했다.

 

지난 2월 20~23일까지 제38회 화랑미술제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을 메인 테마로 했듯 이번 미술제는 그간 선보인 모습과 어딘지 모르게 색달랐다. 코로나19의 여파로 마스크를 착용한 채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이 자아내는 낯선 풍경도 한몫했으나, 곳곳에서 새롭고 다양한 시도의 흔적이 빛을 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화랑미술제는 1979년 첫 포문을 연 이후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아트페어로 명성을 떨치며 한국 미술계의 명맥을 이어왔다. 이를 위해 날카로운 안목과 기준으로 출품작을 선별했고, 지속적으로 관람객들에게 양질의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미술의 진가를 유감없이 표출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번 전시 역시 웅갤러리, 박여숙화랑, 갤러리 현대 등 110곳의 한국화랑협회 소속 갤러리와 총 530여 명의 작가가 선보이는 여러 작품을 통해 가감없이 한국 미술의 다채로운 미를 펼쳤다. 이에 내로라하는 기성 작가들의 작품이 돋보이는 것이 사뭇 놀라운 일은 아니다. 여러 개의 구로 하나의 오브제를 창조하는 신한철 작가, 캔버스를 가득 채운 형형색색의 아크릴로 음양을 그려내는 김구림 작가 등 기라성 같은 작가들의 작품은 이번 미술제에 단단한 무게감을 싣는 데 일조했다. 편의성을 고려한 배치 또한 돋보였다. 화랑미술제의 시그니처 로고인 큐브와 흡사한 부스 배치 중앙 공간에 VIP 라운지와 각종 편의시설을 한데 모아 관람객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권대섭 도예가의 작품이 전시된 박여숙화랑.

 

한 벽면을 장식한 이우환 화백의 작품.

 

웅갤러리 부스에 설치된 신한철 작가의 오브제.

 

든든한 기성 작가들의 향연 속에 신진 작가들의 활약은 이번 전시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포인트였다. 앞서 최웅철 한국화랑협회장은 “화랑미술제의 혁신과 변화를 고민하며 현재 한국 미술 시장에 젊은 작가들이 진입할 기회가 부족한 현실을 재인식하게 됐다”라고 밝히며, 신진 작가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에 네이버 그라폴리오와 손잡고 기획한 전시 프로그램 <ZOOM-IN>을 통해 10명의 신진 아티스트를 선발해 이전 미술제와 차별점을 뒀다. 한국 미술에 새바람을 불어넣는 동시에 국제적으로도 뻗어나갈 역량을 지닌 작가들의 작품은 변화를 바라는 한국 미술의 바람을 내비치듯 전시장 중앙에서 만나볼 수 있었다.

 

자유롭게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또 하나의 변화는 바로 아트 경기(경기문화재단)와의 특별 전시다. 경기도 작가들의 미술 시장 진입을 도와 활발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14명의 지역 작가를 초청해 동시대 한국 미술에 관한 서사를 다양화했다. 관객과 미술 시장 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노력의 흔적까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새로운 방식의 전시 채널 아트윈도 시스템을 도입해 온라인으로 마치 전시장에 온 듯 작품을 감상하고 구매까지 가능해 전시의 접근성을 높였다. 전시장을 방문한 이들에게도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전시 기간 동안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을 기획해 이벤트 부스에서 직접 아티스트와 소통할 수 있도록 폭넓은 감상의 장을 형성했다. <메종>도 미디어 부스로 참가해 라이프스타일과 자연스레 어우러질 한국 미술에 대한 응원에 힘을 보탰다. 이처럼 당당히 변화를 외치며 모습을 드러냈던 2020 화랑미술제. 그 포부처럼 서서히 변해갈 한국 미술의 모습을 기대해보자. 현재의 모습에서 많은 것을 느껴야 비로소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지금의 위치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나아가려는 한국 미술의 더욱 가치 있는 내일을 기대한다.

CREDIT

assistant editor

이호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