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세상

우리가 사는 세상

우리가 사는 세상

먹고 나누는 일상의 즐거움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곳. 배우 윤계상이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썸띵제로를 오픈했다. 윤계상은 이곳을 통해 대중과 새롭게 소통하는 법을 익히고 있다.

↑ 윤계상이 신사동에 새롭게 선보인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썸띵제로의 전경. 컨셉트를 잡고 물건을 하나하나 고르기까지 고민한 흔적이 공간 곳곳에서 느껴진다.   

 

한 때는 1등만 보이고, 잘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아 가슴이 터질 것만 같은 시절이 있었다. 주어진 것에 감사하기보다 특별한 행운이 매일같이 찾아들길 바랐던 나날. 열정이 지나쳐 욕심이 되고 욕심에 못 이겨 벼랑 끝에 섰을 때 윤계상은 비로소 주변이 보이기 시작했다. 마음을 내려놓으니 늘 그 자리에 있던 팬들과 언제나 자신을 믿고 응원해주는 가족과 지인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이 생겨나고 소소한 하루하루가 소중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욕심을 버리는 순간 저에게 자유가 찾아왔어요. 마음이 편안해지니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눈에 들어오고 새로운 것들에 대해 마음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윤계상은 스케줄이 없는 날이면 플라모델을 만드는 등 집에서 취미 생활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에 익숙했다. 그러다가 요리를 배우게 되었고 때로는 손님들을 초대해 손수 만든 음식을 나눠 먹는 일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최근에는 종교를 갖고 반려견을 입양했으며 인스타그램을 활발하게 운영하는 등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 역시 새로워졌다. “소통의 즐거움을 알게 되니 용기가 생겨났어요. 지인들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들과 자유롭게 소통하고 싶어졌죠. 그 마음을 담아 준비한 곳이 바로 썸띵제로입니다.”  

 

 

지난 5월 29일 신사동에 오픈하고 <메종>에 처음 선보인 썸띵제로는 식기를 비롯한 리빙 소품, 예술 작품, 주방 가구 등을 판매하는 라이프스타일 편집숍에 가깝다. 처음에는 지인들과 편안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아지트로 조성했던 곳인데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이 커져 편집숍으로 발전했다고. 그는 썸띵제로의 컨셉트를 잡는 것에서부터 시장조사, 제품 선택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썸띵제로는 집처럼 편안한 것이 컨셉트예요. 사람들이 친구 집에 놀러 오듯 이곳을 편안하게 방문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인테리어도 너무 모던하고 세련된 분위기보다 집처럼 편안하고 아늑한 느낌이 들도록 신경을 썼어요.” 

 

1,2 썸띵제로를 만들 때 주방 공간부터 구상했을 정도로 요리를 즐기는 윤계상. 


↑ 윤계상의 애교쟁이 반려견 감사. 감사와의 일상은 새로운 소통의 통로이자 활력소가 된다.  

 

 

↑ 검은색으로 시크하게 꾸민 썸띵제로의 주방. 싱크대는 메이킹 퍼니처 제품으로 주문 제작이 가능하며 다이닝 테이블은 까사알렉시스 제품. 벽에는 베란다 아이킴 작가의 ‘파리 러브’ 작품이 보인다. 

 

유명 리빙 셀렉트숍과 수입 업체, 갤러리, 리빙 페어 등을 직접 발로 뛰어다니며 시장조사를 진행한 윤계상은 썸띵제로를 통해 아름다운 디자인과 기능성을 겸비하여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드는 리빙 제품을 선보이고자 한다. 또한 숍의 한쪽은 블랙&화이트 톤의 싱크대와 아일랜드 식탁, 커다란 테이블로 이루어져 직접 요리를 하는 것은 물론 테이블에서 음식을 나눠 먹는 등 갖가지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요리는 직접 하는 것도 즐겁지만 사람들과 함께 나눠 먹을 때 기쁨이 두 배로 커지는 것 같아요. 썸띵제로를 구상하면서 가장 먼저 떠올렸던 공간이 바로 주방이었습니다. 앞으로 이곳에서는 쿠킹 클래스를 개최하고 또 때때로 공간을 대여해주는 등 건강한 소통을 이루어 나갈 계획입니다.” 

 

1 박주희 작가의 일러스트가 들어간 접시. 모자를 쓰고 있는 감사가 귀여운 표정을 짓고 있다. 2 도자 작가 윤남은 감사의 발자국을 주제로 재미있는 접시를 완성했다.


↑ 작가들과의 협업은 썸띵제로의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다. 종종 이곳에 모여 앞으로의 계획을 논의한다. 왼쪽부터 윤남 작가, 박주희 작가, 베란다 아이킴 작가.

 


1 썸띵제로의 기획 단계부터 함께한 윤계상의 오랜 지인 이정우 씨와 함께. 2 윤계상이 직접 만든 연어 샐러드.  

썸띵제로에서 눈여겨볼 것 중 하나는 작가와의 협업이다. 북유럽 디자인 브랜드인 칼러의 화병, 도자 작가 김하윤의 커트러리 시리즈 등 이미 잘 알려진 제품도 있지만 썸띵제로의 자체 기획을 통해 선보이는 협업 시리즈도 다양하다. 오픈과 동시에 선보인 제품은 식기, 에코백, 티셔츠, 앞치마, 윤계상의 반려견 ‘감사’를 모델로 한 식기와 패션 아이템 등이다. “제가 소통하고 마음을 열게 된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감사예요. 감사를 데리고 산책하고, 감사의 예쁜 모습을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등 감사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제 생활이 많이 변하기 시작했어요. 감사와 저의 스토리를 작품으로 남기고 또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싶어서 협업 작품을 기획했습니다.” 도자 작가 윤남은 감사의 발자국을 주제로 한 접시를, 일러스트 작가 박주희는 윤계상과 감사를 모델로 한 일러스트를 작업했다. 윤계상은 협업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 적극 참여하는 동시에 메이킹 필름을 제작해 공개했다. “썸띵제로에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작가와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에요. 이번에 선보인 제품들 역시 보다 발전된 디자인으로 계속 출시될 예정이죠.” 

 

 

 

1 베란다 아이킴 작가의 ‘Slave to the rhytnm’. 2 만나는 사람마다 꼬리를 치며 반겨주는 감사. 썸띵제로에서는 감사를 모델로 한 다양한 소품을 판매한다. 

 

오는 6월 25일, 변호사 역할로 열연한 영화 <소수의견> 개봉을 시작으로 7월에 방영될 JTBC 드라마 <라스트>, 하반기에 개봉할 영화 <극적인 하룻밤> 등을 준비하면서 어느 때보다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윤계상은 틈이 날 때마다 썸띵제로를 찾는다. 때로는 이곳에서 오래된 팬을 만나기도 하고 지인들과 조촐한 파티를 열거나 협업을 위한 밤샘 회의를 하기도 한다. 언젠가 젊은 작가의 전시를 개최하고 유기견을 위한 작은 이벤트도 마련하고 싶다니 썸띵제로는 일상 속에서 소통의 즐거움을 일깨워주는 곳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것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마음이 머무는 집

마음이 머무는 집

마음이 머무는 집

스타일링을 위한 연출보다 가족의 생활 습관에 초점을 맞춘 김수지 씨의 집을 <메종>이 찾았다. 소소한 것에 행복을 느끼며 삶을 진정으로 즐기는 집주인의 마음이 집 안 곳곳에 배어 있었다.

거실 거실을 서재처럼 쓰자는 남편의 의견에 따라 TV 대신 책장을 두었어요. 패브릭 소파와 암체어는 각각 회색, 흰색으로 선택해 어떤 소품과 매치해도 잘 어울리죠. 베란다는 이사 올 때부터 확장되어 있었는데 특히 아치형 문틀이 멋졌어요. 그 앞에 둔 식탁은 잠실 근처에 있는 가구 공방에서 직접 주문했고 의자는 이태원에 있는 빈티지 가구숍에서 구입했어요.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하는 김수지 씨는 4년 전 결혼 후 남편과 둘이서 잠실에 있는 112㎡의 아파트에서 지내고 있다. 지어진 지 37년 된 아주 오래된 아파트이지만 요즘 아파트와 다른 구조가 마음에 들었다. 현관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거실과 주방, 왼쪽에 방 2개와 화장실이 있는데 거실에서 방으로 곧장 향할 수 없고 반드시 복도를 지나야 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던 것. 프라이버시를 위한 방과 공용 공간인 거실이 완전히 분리된 이 집은 손님을 초대해 파티를 자주 여는 부부에게 아주 적합했다. 거실에 큰 식탁과 작은 식탁을 놓은 것도 그 때문. 식탁은 모두 가구 공방에서 맞춤으로 제작했는데 필요에 따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똑같이 맞췄다. 또 그녀는 유행을 타는 게 싫어 북유럽 인테리어는 피하고 클래식한 스타일을 선택했다. “오래 봐도 질리지 않고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원했어요. 큰 가구는 모노톤으로 고르고 계절에 따라 쉽게 바꿀 수 있는 쿠션이나 소품 같은 아이템으로 포인트를 주었죠”

*<메종> 홈페이지 내의 오픈하우스 게시판에 독자 여러분의 감각으로 꾸민 집을 자랑해주세요. 채택된 집은 <메종>에 실어드립니다.

거실 팔걸이가 풍성한 고전적인 디자인의 암체어 뒤쪽에는 그림을 걸어놓았어요. 제가 프랑스에서 지낼 때 함께 살았던 화가 할머니의 작품이죠. 할머니 그림이 너무 마음에 들어 몇 점 구입했는데 이것은 결혼하는 저를 위해 새로 그려주셨어요.
작은 방 작은 방에 TV를 놓고 맞은편에는 싱글 침대를 두었어요. 세 면에만 프레임이 있어 쿠션을 두고 기대기 좋아요. 소파에서 TV를 보는 것보다 훨씬 편해서 주말에는 여기에서 나오지 않게 된답니다. 또 이 방은 자고 가는 손님을 위한 곳이기도 해요.

안방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침대 말고는 큰 가구를 놓지 않았어요. 침대는 깔끔하게 헤드보드 없이 투 매트리스로 골랐죠. 커튼과 담요, 러그는 따뜻한 느낌을 연출하기 위해 베이지, 브라운으로 선택했습니다.

복도 안방에서 거실로 향하는 복도 바닥에 그림 4개를 줄지어 놓았어요. 거실에 있는 그림과 마찬가지로 화가 할머니의 작품이죠. 2개가 한 쌍으로 하나는 스케치, 하나는 채색한 것인데 둘 다 느낌이 아주 멋져요.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차가연

TAGS
장밋빛 꿈

장밋빛 꿈

장밋빛 꿈

한층 부드러운 분위기를 위해 분홍색 가구와 소품으로 악센트를 주었다. 곱디고운 파우더를 여기저기 흩뿌려놓은 듯 연출한 공간.

1 고무 소재의 펜던트 조명 ‘E27’은 무토 Muuto 제품으로 플뤼 Fleux에서 판매. 59유로. 2 무광택의 도자기 시계 ‘클록 Klok’은 스튜디오 엘케 Studio Elke 제품으로 트로와지엠 파랄렐르 3e Parallele에서 판매. 작은 것 55유로, 큰 것 79유로. 3 플라스틱 소재의 케이크 스탠드 ‘로터리 트레이 Rotary Tray’는 재스퍼 모리슨 Jasper Morrison이 디자인한 것으로 비트라 Vitra 제품. 46유로. 4 투톤으로 디자인한 도자기 저그는 더 콘란 숍 The Conran Shop 제품. 120유로. 5 도자기 찻주전자와 잔은 카트린 로바트 Catherine Lovatt가 디자인한 ‘패밀리 세트’로 세락스 Serax 제품. 주전자 40.50유로, 잔 24.50유로.

6 물푸레나무로 만든 안락의자 ‘이소 Iso’는 엠시 도너 MC Dorner가 디자인한 리네 로제 Ligne Roset 제품. 51.5×52×81cm, 806유로. 7 수납장 ‘토쉬 Toshi’는 카사마니아 Casamania 제품으로 이자 모 Isa Mo에서 판매. 91×45.5×61.5cm. 1513유로. 8 도자기 소재의 물잔 ‘고블렛 Gobelet’과 촛대 ‘플랑보 Flambeau’는 지앙 Gien 제품. 물잔 2개 세트 50유로, 촛대 90유로. 9 황동 다리가 간결한 8각 테이블은 플뤼 제품. 119유로. 10 철제 의자 ‘셰즈 아 Chaise A’는 톨릭스 Tolix 제품으로 페르소나 그라타 Persona Grata에서 판매. 199유로.

11 식물성 염료를 사용해 수작업으로 염색한 메리노 양모 담요 ‘울라 Wola’는 고메즈 앤 훌 C.Gomez et Whole 제품. 265유로. 12 안쪽은 노란색, 바깥쪽은 분홍색으로 칠한 도자기 단지는 비토시 Bitossi 제품으로 봉 마르셰 Bon Marche에서 판매. 404유로. 13 래커로 칠한 세라믹 토끼 오브제 ‘팡팡 Panpan’은 바바라 톰슨 Barbara Thompson이 디자인한 것으로 리네 로제 제품. 124유로.

목련 나뭇가지는 베르툼 Vertumne. 벽면의 노란색 페인트 ‘트럼펫 Trumpet’과 ‘로즈 칼라민느 Rose calamine’는 모두 리틀 그린 Little Greene 제품. 바닥에 칠한 ‘핑크 그라운드 Pink Ground’는 패로&볼 Farrow&Ball 제품.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소피 부사바 Sophie Boussahba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