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디자인이 공존하는 ‘ERD 갤러리’

아트와 리빙의 콜라보레이션으로 갤러리의 새로운 방향을 전개하고 있는 ERD 갤러리 대표 이민주. 그녀가 만든 4층 붉은 벽돌집에 들어선 갤러리를 소개한다.


1 계단의 연장선상처럼 보이는 ‘ㄱ’자형 창문이 인상적인 ERD 갤러리의 계단. 2 북유럽의 풍경을 캐비닛 안에 담은 김희원 작가의 작품 앞으로 핀 율의 펠리컨 체어와 아이 테이블이 놓여 있다.

 

미술 전공자도 아닌데 어떻게 갤러리스트가 됐나?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했지만 갤러리에서 일해보고 싶은 꿈이 컸다. 첫 직장은 통의동 아트사이드 갤러리였는데, 당시 중국과의 교류가 많았던 터라 내가 적임자였다. 홍콩에서 열린 중국 작가 장 샤오강의 골드 전시를 성공적으로 치른 후 서울 리안 갤러리에서 일하다 회사를 관두고 3~4년의 공백기를 가졌다. 

갤러리를 오픈하게 된 이유는 뭔가? 갤러리 일을 하면서 다시는 이 일을 하지 않을 거라 다짐했었다. 당시에는 컬렉팅하는 사람들이 제일 행복해 보였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나도 모르게 계속 그쪽 일을 하고 있더라. (웃음) 결국 지금 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아 갤러리를 오픈하기로 결심했다.

 

 


1 남다른 인테리어 감각과 혜안을 가진 갤러리 ERD의 이민주 대표. 2 마치 핀 율의 집 안에서 창밖을 바라보듯 상상력을 불어넣는 공간 연출은 이번 전시의 컨셉트. 3 핀 율의 가장 아름다운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치프테인 의자. 4 새하얀 공간에 김희원의 ‘Someone’s Window’ 시리즈가 창문처럼 걸려 있다. 5 거실처럼 꾸민 4층 공간. 

 

 

ERD가 담고 있는 의미는? ‘이알디’는 ‘아트와 디자인 전시장 Exhibition of Art and Design’을 줄인 말이다. 디자인도 미술관 전시를 할 수 있고 아트와 동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이 아직까지도 파인 아트는 고귀하고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에 반해 디자인은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런 경계가 없는 전시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이태원 경리단길에 터를 잡은 이유가 있나? 젊은 사람들이 북적이는 곳이어야 했다. 갤러리들이 즐비한 동네는 왠지 뻔한 작품들이 걸려 있을 것 같고, 갤러리를 나설 때는 하나쯤 사서 나와야 할 것 같은 강박관념이 있을 것 같았다. 문턱을 낮춘 갤러리를 만들어 부담 없이 전시를 즐길 수 있게 하고 싶었다. 요즘 젊은이들은 오타쿠처럼 가치형 소비를 하는 시대다. 먼 얘기이긴 하지만 훗날 이들이 컬렉터가 될 수 있다. 그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내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웃음)     

갤러리 오픈과 동시에 ‘하우스 오브 핀 율 서울’을 기획했다. 어떤 의미인가? 갤러리 컨셉트가 아트와 리빙의 콜라보레이션이듯 아트 영역은 ERD가, 리빙의 영역은 ‘하우스 오브 핀 율’이 담당한다. 핀 율 가구는 이곳에 상주해 있지만 1년에 두 번씩 핀 율 가구와 한국 작가들을 콜라보레이션해 대규모 전시를 진행할 예정이다.  

<메종>에서 두 번이나 집 촬영을 했을 정도로 감각이 남다르다.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구 중 핀 율 가구가 으뜸이었나? 하나의 스타일을 고수하기보다는 다양한 스타일이 뒤섞인 믹스매치를 즐긴다. 공간에 작품이 놓일 때는 가구와의 조화를 신경 써야 한다. 작품 하나하나에는 각각의 기운이 있다. 그것은 가구도 마찬가지인데, 다양한 가구를 작품과 매치하다 보니 핀 율의 가구가 어느 작품에나 좋은 합을 이룬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개관전으로 김희원 작가와 전시를 열고 있다. 그와 함께한 특별한 이유는? 핀 율과 재미있는 콜라보레이션을 하고 싶었다. 그의 집 창문을 갤러리로 옮겨오면 재미있을 것 같아 창을 찍는 사진작가를 섭외하던 중 김희원을 만났다. 그는 배낭 하나 달랑 메고 한 달 넘게 덴마크에 머물면서 핀 율의 삶을 분석하고, 그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핀 율이 바라봤을 법한 멋진 창을 뷰파인더에 담아왔다. 

흔히 갤러리 하면 뻥 뚫린 하얀 공간을 떠올리지만 이곳은 집 같은 느낌이다. 일본의 협소 주택에서 착안한 형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작지만 효율성이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레노베이션하기 전 이곳은 붉은색 벽돌로 만든 작은 집이었다. 이 동네의 정겨움을 상징하는 것 같아 같은 붉은 벽돌을 선택했다.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하다. 9월 7일부터 정승혜 작가의 전시가 이어질 예정이다. 파인 아트에 국한되는 전시뿐 아니라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이라든지 영상, 영화, 음악 등 영역의 구분 없이 재미있는 전시를 해보고 싶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차가연

TAGS
열정이 담긴 ‘소피스 갤러리’

열정이 담긴 ‘소피스 갤러리’

열정이 담긴 ‘소피스 갤러리’

이제 막 갤러리스트 세계에 발을 담근 이희수 디렉터는 젊고 재능 있는 작가들과 합심해 좋은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여느 갤러리처럼 하얀 공간이지만 소피스 갤러리에는 열정이 있다.


1 하얀 공간에 잘 어울리는 서정화 작가의 스툴과 김병주 작가의 파티션 작품. 2 올해 1월 소피스 갤러리의 문을 연 이희수 디렉터. 3 작은 작품을 위한 온실 컨셉트의 디스플레이. 4 두 개의 전시 공간 사이에는 사무실을 만들었다. 

 

1년 반 전 취재로 만났을 때 새로운 일을 구상 중이라고 했다. 갤러리를 오픈할 줄은 몰랐다. 패션 사업을 하다가 잠시 쉬어 가는 타이밍이었다. 어떤 일을 시작해볼까 고민하던 중 갤러리를 운영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작품을 좋아하시는 어머니 영향도 컸다. 전시를 보고 작품을 구입하고, 누군가에게 작품을 추천을 하는 일이 아주 낯설지 않았기에 용기를 냈다. 

갤러리 이름은 어떻게 지었나? ‘소피’는 본인의 영문 이름인가? 그런 질문을 정말 많이 받는데, 소피스 갤러리는 ‘세련된’, ‘교양 있는’을 뜻하는 영어 단어 ‘Sophisticated’에서 따온 이름이다. 

소피스 갤러리는 어떤 갤러리인가? 그 특색이 궁금하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동네에서 좋은 전시를 볼 수 있는 갤러리 공간을 오픈하고 싶었다. 작품이 돋보일 수 있는 인테리어에도 신경을 많이 썼고 30~40대 작가들의 작품을 더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싶다. 또 4월에 기획했던 <움트다, 봄> 전시처럼 1년에 한 번 정도는 젊은 작가들을 응원하고 후원하는 공모전을 개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진행한 전시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전시는? 올해 1월에 소피스 갤러리를 오픈해서 다섯 번의 전시를 진행했다. 모든 전시에 애착이 있지만 3월에 열렸던 최인선 작가의 전시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전시가 모두 신작으로만 이뤄졌고, 유화 물감이 채 마르지 않은 작품들이 갤러리에 도착했다. 유화 냄새도 그렇고 작품이 손상될까봐 설치할 때 정말 고생했지만, 강렬한 색채의 작품들로 채워진 갤러리에 있으니 기분이 좋아졌다. 그때의 갤러리 풍경과 색감이 종종 생각난다.

 

 


5 건물 투시도면을 떠올리게 하는 김병주 작가의 작품. 멀리 서정화 작가의 스툴 작품도 보인다. 6 강준영 작가의 달항아리와 드로잉 작품이 놓인 갤러리 공간.

 

처음 작품을 구입하려는 이들에게 조언을 해달라. 마음에 드는 작품을 집에 두고 매일 보면서 행복하고 기쁠 수 있다면 투자 가치를 떠나서 구입하길 바란다고 말한다. 오랜 시간 보고 즐길 수 있다면 그 또한 작품 가격에 상응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구입한 작품의 작가가 훗날 유명해질지도 모를 일이니 기대되기도 하고. 또 취향은 계속 바뀌기 때문에 작품을 구입하기 전에 갤러리나 해외 아트 페어 등 최대한 많이 다니면서 자신의 취향을 제대로 파악해야만 작품을 구입하고 나서도 후회가 없다. 

소피스 갤러리에서 앞두고 있는 흥미로운 전시가 있다면? 9월에 열릴 김한나 작가의 개인전이 기대된다. 아직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는 않은 작가인데, 예전에 전시를 보고 그림을 구입하게 만든 실력 있는 회화 작가다. 강한 색채로 섬세하고 몽환적인 표현을 즐기는 작가로, 박서보 작가가 아낀다는 말을 들었다. 소피스 갤러리의 넓은 공간을 신작으로도 다 채울 수 있다고 당당히 말하는 당찬 작가다. 

어떤 사람들이 소피스 갤러리를 방문했으면 좋겠는가? 예술에 관심이 있는 모두의 방문을 환영한다. 소피스 갤러리는 언제든 와서 작품을 둘러보고 편하게 나가도 되는 곳이다. 질문을 하는 등 관심을 표하는 방문객이 정말 반가운데, 작가의 생각과 작품에 대한 설명을 듣게 되면 전시를 더욱 즐길 수 있다. 공통의 관심사만 있다면 처음 만난 사람도 어색하지 않게 대화를 나눌 수 있다. 각박한 일상에서 작품과 갤러리스트와 잠시 소통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스트레스 해소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갤러리스트가 지녀야 할 덕목은 무엇일까? 갤러리스트는 역사도 잘 알아야 하고 현재의 트렌드와 미래의 전망 등 예술과 관련된 전반적인 것을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좋은 작품을 선별하는 혜안을 지녀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실적인 운영을 위해 경영적인 능력도 길러야 한다. 갤러리가 조용하다고 해서 하는 일도 움직임 없이 편할 거라고 생각한다면 금물! 작가들과 소통하고 그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해서 사람들에게 알리는 전시를 기획하는 업무는 힘이 들지만 정말 가슴 떨리고 즐겁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맥시멀리즘의 극치

맥시멀리즘의 극치

맥시멀리즘의 극치

화려한 색상, 과장된 장식을 추구하는 맥시멀리즘의 영향을 받은 데커레이션이 유행의 중심에 있다.


ALTERNATIVE

한국적인 책가도와 럭셔리의 상징인 골드 컬러의 매치.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극과 극이 만나 창출하는 신비한 이미지. 

 

책가도 벽지는 올리브벽지. 반투명한 유리 장식이 우아한 분위기를 내는 샹들리에는 힐로라이팅. 꽃과 깃털을 꽂은 브라스 베이스와 골드&블랙 베이스는 모두 힙쉬 제품으로 데이글로우. 금색으로 마감한 데달로 커피잔, 바로크 패턴을 입은 바니티 디시, 3단 트레이, 메두사 로고를 장식한 소스 볼, 금색 에스프레소잔, 금색 접시와 커트러리, 메두사 로고를 장식한 티포트, 바로크 패턴을 입은 샐러드 볼과 커피잔은 모두 베르사체홈. 차이니스 블루 패턴을 입은 볼과 도자기는 모두 테이블에이. 

 

 


PATTERN

‘맥시멀리즘’이 화두로 떠오른 패션처럼 화려한 색상과 패턴을 입은 가구와 소품들이 유행이다. 강렬한 패턴으로 임팩트를 준 가구와 소품들로 가장 아름답고 화려했던 시대를 오마주한 공간. 


흑단 원목으로 만들어진 3단 파티션은 베르사체홈. 대리석을 가공한 몸체에 24k 금으로 패턴을 새긴 테이블 조명은 베르사체홈. 지아니 베르사체가 생전에 직접 그린 그림을 입혀 만든 소파는 전 세계 10개밖에 없는 한정판으로 베르사체홈. 실크로 만든 벨벳, 실켓, 베르니란 이름의 핸드 페이트 쿠션은 모두 베르사체홈. 흑단 원목으로 만든 섀도 테이블은 베르사체홈. 바닥에 놓은 커다란 크기의 보라색 천연 실크 쿠션은 베르사체홈. 강아지 오브제는 마요. 금색 티포트는 런빠뉴. 




CROSSOVER

다면성과 절충주의의 틀 아래 동서양의 다문화가 서로 절묘하게 믹스된 신비로운 만화경 속 같은 공간. 


빨간색과 골드의 매치가 화려한 더블 제로 체어는 데이비드 아다예 디자인으로 모로소. 그리스 신전의 기둥을 잘라 만든 듯한 스툴 겸 사이드 테이블은 모로소. 깃털을 꽂은 금색 화기는 마요. 나뭇가지를 형상화한 조명은 포스카리니 제품으로 모로소. 동양적인 자수를 놓은 볼랑 암체어와 스툴은 모로소. 배와 사과 모양의 오브제는 마요. 에스닉한 패턴을 입은 옐로&핑크 골란 카펫은 모두 모로소. 금색 나누크 테이블은 모로소.

 

 


GROTESQUE

네오클래식과 같은 고전에서 모티프를 얻은 아이템과 21세기 디지털적인 모던 디자인 감성이 결합해 만든 기괴한 아름다움. 


세라믹에 벨벳 소재를 입혀 만든 양 흉상 오브제는 런빠뉴. 실제 초를 켜서 다 녹아 꺼질 때까지 촬영한 미디어 영상 작품은 김희원 작가의 작품. 화병의 입구를 24K 금으로 장식한 골드&화이트 컬러 화병은 조 다비스 제품으로 런빠뉴. 빨간색과 파란색 화병은 자라홈.

 

 


COSMIC

우주에서 바라본 듯한 달빛이 현실과 이상을 넘나드는 모호한 가상의 경계를 만든다. 


마이 문 마이 미러라는 이름의 달 모양 거울은 디젤 컬렉션 by 모로소 제품으로 모로소. 메탈 글라스 조명은 포스카리니 제품으로 모로소. 가느다란 선이 특징인 테이블은 디젤 컬렉션 by 모로소 제품으로 모로소. 오렌지색 워크 암체어는 모로소. 기하학적인 문양의 쿠션은 블렌디. 민트색 네트 테이블은 모로소. 금색 앵무새 오브제는 까사알렉시스. 레트로 패턴을 입은 보라색과 골드빛 쿠션은 모두 나인앤포. 로켓 모양의 금색 오브제는 셀레티 제품으로 루밍. 금괴처럼 생긴 도어 스토퍼 겸 문진은 에노 제품으로 루밍.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스타일리스트

최지아(가라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