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dden House

Hidden House

Hidden House

가구 브랜드 카레클린트의 정재엽 대표와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 글래드웍스의 심지영 대표는 2014년에 결혼한 5년 차 부부다.

 

카레클린트의 가구를 기본으로 컬러감이 돋보이는 헤이의 러그와 알플렉스의 의자로 포인트를 줬다.

 

최근 두 번째 집으로 이사한 정재엽, 심지영 부부.

 

첫 번째 집을 거쳐 지난해 6월, 현재의 집이 위치한 서울숲으로 이사했다. 그들의 첫번째 신혼집은 꽤나 아름다워 여러 매체에 소개될 만큼 유명세를 탔다. 하지만 이번 집은 그때와는 느낌이 사뭇 다르다. 첫 번째 집이 다양한 소품으로 장식된 아기자기한 스타일이었다면, 이번 집은 물건을 최대한 수납장 안에 숨겨 분위기를 간소화했다.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면 정리가 잘돼야 하잖아요(웃음). 그런데 저희가 맞벌이를 하다 보니, 아무 데나 물건을 늘어놓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정리가 안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어요. 둘 다 일 때문에 바빠서 예쁘게 물건을 세팅하고 정리할 수 있는 여건이 안 됐으니까요.” 특히 지난 3월에 아기가 태어나면서 집 안 곳곳에 자잘한 물건이 더욱 많아지기 시작했다. 부부가 수납에 더욱 열을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붙박이장을 만들어 대부분의 아이템을 수납했다.

 

정재엽, 심지영 씨는 지금의 집으로 이사하면서 수납에 효율적인 붙박이장을 최대한 많이 제작했다. 이전 집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옷장, 수납장 등의 내부를 제작했다. 주방 수납장의 경우, 한 켠은 와인 잔걸이로 쓰고, 다른 한쪽은 약이나 반짇고리 등의 작은 물건을 넣어두는 공간으로 사용하는 식이다. 수납장은 제작 단계부터 손잡이를 없애 심플한 느낌을 더욱 강화했다. 수납을 위한 공간은 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집에 있는 두 개의 방도 오직 수납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실외기실에도 붙박이장을 짜 넣어 수납용 공간을 확보했다. “옛날 집에는 책도 많았거든요. 전공 책이나 만화책 같은 것들이요. 그런데 책이 항상 필요한 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모두 창고에 넣어 두고, 필요할 때만 한두 권씩 꺼내서 봐요.”

 

부부의 침실 풍경. TV가 놓인 공간은 책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집의 분위기는 컬러로 잡았다. 쿨 톤의 뉴트럴 컬러로 베이스를 만들고, 따듯한 느낌의 원목 가구나 소품을 사용해 강약을 줬다. 레드 컬러가 돋보이는 뱅앤올룹슨 스피커나 싱그러운 초록 식물은 공간에 포인트를 주는 예시다. 말끔한 공간은 마치 도화지 같아서 소품의 교체만으로도 쉽사리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다. 집의 분위기를 잡는 데는 조명도 한몫한다. 직접조명을 싫어하는 부부는 중앙에 등을 따로 설치하지 않았는데, 대신 공간 곳곳에 여러개의 작은 조명을 두어 그때그때 간접적인 빛으로 생활한다. 이는 유럽의 에어비앤비에서 얻은 아이디어다. “집이 조금 썰렁하긴 한데요. 그래도 서두르지 않고 예쁜 것을 하나씩 사면서 천천히 채워가려고 해요. 그래야 집에 들어섰을 때 그 사람의 내력이 나오는 것 같아요. 신혼 초기에 보면, 엑셀로 리스트를 만들어 필요한 것을 한번에 몽땅 사는 사람이 많잖아요. 살아보니, 그럴 필요가 없는 것 같더라고요. 처음에는 필수적인 것만 구비하면 될 것 같아요.”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찬찬히 자신들의 색을 담은 집을 만들어가는 것. 앞으로 함께할 시간이 많은 부부의 여유롭고도 현명한 계획이다.

 

(왼쪽 이미지) 명랑하면서도 쾌활한 부부의 캐릭터를 잘 살린 그림은 지인의 선물이다. (오른쪽 이미지) 공간 곳곳에 놓인 식물은 심플한 집에 활기를 더한다.

 

군더더기를 덜어내고 심플한 멋을 살린 복도와 거실. 집 전체 컬러에 통일감이 있다.

 

위치 서울시
가족 구성원 아기가 있는 30대 부부
직업 사업가
주거 형태 아파트
면적 115㎡

 

Items
써보니 유달리 좋았다는 정재엽, 심지영 부부의 신혼 아이템 베스트 8.

(왼쪽 이미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사온 브루퍼 Blooper 테이블 조명. 손으로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은은한 테이블 조명은 신혼 초 와인을 마실 때부터 아이가 생긴 뒤까지 두루두루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오른쪽 이미지) 노르웨이에서 제작한 스트레스리스 의자는 쓰면 쓸수록 만족하는 아이템이다.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춰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돼 그냥 의자에 몸을 맡기면 된다. 너무 편안해서 사무실에서도 쓰고 있다.

 

(왼쪽 이미지) 길이가 길어 식탁뿐 아니라 홈 오피스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카레클린트 테이블. 5년째 쓰고 있는데 이제는 상당히 정이 많이 들었다. (오른쪽 이미지) 발뮤다 더 팟 K02C. 물을 따르는 입구가 좁아 편리하며 차나 드립 커피를 내릴 때 유용하다. 물이 금방 끓어, 분유 탈 때도 자주 쓴다. 분유포트가 있지만 발뮤다 제품을 더 많이 사용한다.

 

(왼쪽 이미지) 화이트 그릇은 음식을 돋보이게 하고, 사진을 찍어도 예쁘게 나온다. 다양한 스타일로 구비하면 두고두고 실용적으로 쓸 수 있다. (오른쪽 이미지) 뱅앤올룹슨 베오랩 14 스피커. 콤팩트하면서도 예뻐서 샀다. 애플 기기와도 에어플레이가 쉽게 되고, 전문 사운드에 비해 구동이 쉽다. 가성비도 꽤 좋은 편이다.

 

(왼쪽 이미지) 열전도율과 열 보유력이 좋아 각종 요리에 두루 활용할 수 있는 르크루제 냄비. 저수분 요리로 통삼겹 수육 등을 만들거나, 가끔 라면도 끓여 먹는다. 색깔이 예뻐서, 냄비째 식탁에 올려도 좋다. (오른쪽 이미지) 결혼할 때 누구나 하나쯤 구매한다는 헹켈의 블록세트. 요리를 전문적으로 하는 수준은 아니기에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다. 아시아형 식도와 과도, 주방가위, 봉칼갈이, 블록으로 구성된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여름 창가

여름 창가

여름 창가

서촌 보안스테이에서 <장응복의 레지던스2>가 진행된다.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보안스테이의 41번, 34번 방과 4층 공용 공간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모노콜렉션을 이끌고 있는 디자이너 장응복이 제안하는 다양한 무늬의 텍스타일 제품을 만끽해볼 수 있는 기회다. 섬유와 한지, 벽지, 지장과 화문석, 병풍 등 다양한 소재와 창밖의 자연과 실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유연한 소재가 여름날 불어오는 바람만큼이나 여유롭다. 보안스테이의 창을 통해 주변의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장식은 최소화하고 감각적인 컬러와 패턴으로 공간을 따뜻하게 감쌌다. 이번 전시는 8월 8일까지 이어지며 신관 1층의 33마켓에서는 팝업 스토어도 진행하고 있어 전시의 여운을 쇼핑으로 달랠 수 있다.

tel 02-517-5170

web www.monocollection.com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장응복의 레지던스2 전시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라곰 하우스

라곰 하우스

라곰 하우스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 알맞음을 뜻하는 라곰. 오래된 낡은 집을 리모델링해서 살고 싶은 이들의 마음을 더욱 간절하게 만들 어느 부부의 라곰 하우스를 소개한다.

리모델링 하우스

원래 집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새롭게 리모델링한 집. 단열과 방수 기능이 있는 스타코 소재로 외관을 마감했다.

반듯하게 생긴 흰색 집에 사는 부부는 아주 오래된 집을 구입해서 리모델링했다. 집 안에 들어서니 여기가 집인지 카페인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카페 같은 주방이 아니라 카페를 만들자는 생각이었어요. 디자인 시안으로 찾아본 주방도 전부 카페일 정도였어요. 주방은 저희 부부가 함께 보내는 시간이 가장 많은 곳이에요.” 마당에서 수확한 블루베리와 아이스커피를 내주며 건축주인 남편이 말했다. 두 개의 주방 가구로 나눠진 평행 구조의 주방은 실제 카페처럼 보인다. 거실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있고, 나무와 스테인리스 소재, 흰색 타일을 매치해 깔끔하다.

 

카페 인테리어

웅덩이처럼 낮게 위치한 독특한 구조의 거실. 카페 인테리어를 적용해 실제 카페처럼 연출한 주방이 이 집의 주인공이다.

“아내가 원했던 것은 일을 하면서 소외되지 않는 대면형 주방이었어요. 저는 스테인리스 주방을 원해서 두 가지를 절충했죠. 아일랜드의 높이나 식탁 위치 등 실용적인 부분과 디자인적인 요소 사이에서 결정해야 할 때는 주로 디자인적인 것을 선택했던 것 같아요.” 주방에서 집 안을 지그시 내려다보니 수직적인 리듬이 느껴졌다. 독특한 바닥 구조 덕분이다. 현관에서 거실까지 가려면 몇 개의 계단을 내려가야 하고, 주방이나 방으로 가려면 다시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공사를 하려고 바닥을 들어냈는데 뻥 뚫린 공간이 나왔어요. 그래서 웅덩이처럼 낮은 거실이 됐고, 대신 주변에는 계단 형태의 단차가 생겨서 걸터앉을 수도 있는 재미있는 구조가 됐죠 .” 이 집의 설계를 맡았던 스튜디오 오브릭의 남혜영 소장이 이야기를 보탰다.

 

다다미 다락방

다다미를 깐 손님방과 그 옆으로 다락방과 이어지는 계단이 보인다.

이처럼 의외의 요소를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이 이 집의 매력이다. 낮은 좌식형 매트리스를 두어 이색적인 부부 침실은 문 대신 아치형 입구에 커튼을 달았고, 왠지 한옥처럼 신발을 벗어두고 올라가야 할 것 같은 다다미방은 손님이 왔을 때 게스트룸으로 변신한다. 거실에서 이어지는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성인 남자의 정수리가 닳을 정도로 천장이 낮은 다락방이 나온다. 옥상과 이어지는 다락방은 서재처럼 꾸몄는데, 편안한 의자를 두어 책도 읽고, 쉬기도 하는 공간이다. “가끔 옥상에서 저녁을 먹을 때 단독주택에 사는 즐거움을 느껴요. 저희 집 마당은 오픈형 담장인데, 그래서 나갈 때 옷차림이 신경 쓰이기도 하지만 동네분들과 대화도 나눌 수 있고 단독주택의 단점으로 생각하는 보안 문제에서도 더 나은 것 같아요.” 단독주택에 산다는 것은 동전의 양면처럼 장점과 단점이 확연히 드러나는 일이다. 가족의 취향에 맞는 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지만 대신 아파트에 비해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할 것들이 더 많다. 하지만 이런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한다면 단독주택에 산다는 것은 이 집의 이름인 ‘라곰’처럼 소확행을 누릴 수 있는 선택이 될 수도 있다.

 

거실 인테리어

주방에서 바라본 거실. 붉은 벽돌 벽 덕분에 가정집이라기보다는 카페나 상업 공간처럼 보인다. 현관 쪽은 행잉 식물을 비롯해 다양한 식물로 싱그럽게 연출했다.

 

주방 가구

이 집의 백미이자 중심인 주방. 언뜻 보면 하나의 주방 가구처럼 보이지만 평행 구조로 된 2단 주방 가구다. 스테인리스 소재의 가전과 조명, 벽에 설치한 네온 조명 등이 주방을 더욱 스타일리하게 만든다.

 

드레스룸 침실

드레스룸 쪽에서 바라본 부부 침실. 방문 대신 입구를 아치형으로 만들고 짙은 블루 컬러의 커튼을 달아 궁금증을 자아내는 공간이 됐다.

위치 인천시
가족 구성원 40대 부부
직업 사업가
주거 형태 단독주택
면적 89㎡

 

Details

감각적인 부부의 취향이 묻어나는 라곰 하우스 자세히 들여다보기.

플러스마이너스제로 선풍기

(왼쪽 이미지) 11인용 트레이와 단정한 나무 수저와 젓가락은 폴라앳홈에서 구입. 소소한 주방 용품도 디자인을 신경 써서 골랐다. 깨끗한 흰색 밥공기는 무지 제품. (오른쪽 이미지) 다다미를 깐 방에는 작은 소반과 플러스마이너스제로의 선풍기를 두어 여름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창가에 둔 작은 병은 남혜영 소장이 선물로 준 것.

 

뱅앤올룹슨 오디오

(왼쪽 이미지) 깔끔한 흰색 타일과 잘 어울리는 뱅앤올룹슨의 오디오. 카페처럼 늘 좋은 음악이 집 안을 감싼다. (오른쪽 이미지) 디자인에 끌려서 구입한 샤오미 무선 주전자. 아래의 김치냉장고는 주방 가구에 맞게 빌트인 형태로 넣었다.

 

파펠리나 러그

(왼쪽 이미지) 오래 서 있어도 발바닥이 아프지 않도록 깔아둔 파펠리나 러그는 이 주방에서 가장 컬러풀한 제품이다. (오른쪽 이미지) 계단을 올라가면 낮은 천장의 다락방이 나온다. 선반을 짜서 책을 수납했고, 앞에는 편안한 라운지 의자들을 두었다.

 

원마일 다구세트

(왼쪽 이미지) 나무 심기부터 조경까지 모두 직접 가꾼 마당 한 켠의 정원. (오른쪽 이미지) 차를 즐겨 마시는 부부의 다구 세트는 원마일에서 구입한 것.

 

침실 매트리스

낮은 매트리스 두 개만으로 꾸민 부부 침실은 아늑하고 이색적이다. 아랫부분에는 수납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비워두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