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이 숨어 있는 집

색이 숨어 있는 집

색이 숨어 있는 집

흰 크림을 두른 레드 벨벳 케이크의 단면을 고스란히 옮겨온 듯한 붉은 계단과 짙은 녹색의 복도 그리고 푸른색으로 칠한 서재가 시야에 들어온다. 새하얀 집 안 곳곳에 각양각색의 컬러를 품은 김포의 타운하우스를 찾았다.

 

높은 천고와 집안 가득 햇살이 들어오는 화이트 톤의 넓은 거실은 으레 놓는 소파 대신 다이닝 테이블을 두어 리빙과 다이닝 공간을 병합했다. 아이 방도 큰 원형의 창으로 개방감을 부여했다.

 

로망과도 같은 드높은 천고와 볕이 가득 들어오는 큰 창 에 매료된 이예지 씨 가족은 김포의 200m2평 복층형 타운하우스를 새로운 보금자리로 선택했다. 어디서나 으레 볼 수 있는 네모 반듯한 이전 집과 달리 마치 모가 난듯한 모서리 공간을 품은 다각형 구조는 부부의 상상력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쇼 프로그램 프로듀서로 일했던지라 매번 다른 세트를 위한 공간 레퍼런스를 모아온 이예지씨는 남편과 함께 머릿속에 그려온 집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 스튜디오 3AB에 리모델링을 의뢰했다. “공연을 위한 무대를 구현하는 세트는 많은 비용을 들여서 만들지만 결국 철거되잖아요. 제 취향에 딱맞는 세트가 나왔어도 결국 해체되고 영상으로만 그 모습이 남아있는게 너무 마음이 아픈 거예요. 그래서 내가 사는 공간만큼은 사라지지 않을테니 정말 취향에 딱 맞게 만들어야겠다 싶었어요.”

 

마치 생크림을 두른 레드 벨벳 케이크의 단면을 보는 듯한 붉은색의 계단은 이 집을 상징하는 스팟이다. 2층에서도 거실과 주방을 한눈에 관망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구조를 완성했다.

 

부부가 고안한 새로운 공간은 원색에 가까운 강렬한 컬러가 집안 곳곳에 자리하는 것. “인테리어를 진행하면서 처음에 지었던 프로젝트명은 점입가경이었어요. 들어올 때만 하더라도 심플한 화이트 톤으로 꾸민 집 같았는데,고개를 돌리면 붉은색이 나오고, 커튼을 걷으면 짙은 녹색이, 붙박이장 안에는 푸른 공간이 나왔는데, 이에 딱 맞는 최적의 단어였죠.” 부부는 지하 공간을 포함해 3개 층으로 이뤄진 컨셉트는 물론, 자재와 모서리마감 같은 디테일한 부분까지 시공업체와 많은 아이디어를 주고받을만큼 집의 변신에 적극 임했다. 현관을 열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각기 다른 비율로 색을 배합한 3개의 모듈스툴, 이집에 펼쳐질 다양한 색의 향연에 대한 작은 스포일러처럼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동그란 무대를 만든 지하공간. 벙커 살롱 컨셉트로 꾸민 이곳은 지인들이 방문했을 때 은밀한 아지트로 변신하는데, 빈백과 소파 베드 등을 두어 편하게 머물 수 있다.

 

현관을 지나면 화이트 톤으로 말끔히 도장한 거실과 주방이 자리한다. 마치 채색화를 그리듯 집안 곳곳에 위치한 강렬한 원색과 드라마틱한 대비를 주기 위한 영리한 밑그림이다. 거실에는 과감히 소파를 두지 않는 대신, 볕이 가득 들어오는 창옆에 넓은 상판의 테이블과 비트라의 마스터  체어를 두어 다이닝과 거실의 역할을 병합하며 가족 모두 둘러앉아 소소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꾸렸다. 거실과 이어지는 주방은 요리를 즐기는 남편을 위한 공간이다. 특히 오마카세처럼 직접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기 위해 홈 바 형태로 된 아일랜드를 주문 제작했을만큼 열의를 발휘했다. 또 상부장이 없어 시선을 가리는 요소를 제거하고 주방을 탁트인 면처럼 인식하게 되는 효과를 주었다. 부족한 수납공간은 주방 바로 옆에 팬트리를 별도로 마련해 말끔하게 해결했다.

 

확고한 취향으로 머릿속에 그렸던 집을 완성한 이예지씨 가족.

 

본격적인 색의 향연은 1층에 위치한 아치형 입구에서부터 시작된다. 마치 다른 세계로 인도하는 듯한 느낌을 자아내는 입구에 들어서면 딥 그린 컬러의 짧은 복도가 나타난다. 본래 이곳의 정체는 안방처럼 작은 화장실과 파우더룸이지만, 중앙부에 가벽을 세워 공간을 반으로 분할한 다음 짧은 복도를 낸 것. 입구를 기준으로 복도 오른쪽에는 미닫이문을 달아 프라이빗한 드레스룸으로, 맞은편은 파우더룸과 화장실을 꾸려 지금과 같은 구조를 완성했다. 뭐니뭐니 해도 이 집의 하이라이트는 1층과 2층 그리고 지하를 잇는 붉은 계단이다. “저는 이 계단을 볼때마다 레드벨벳 케이크의 단면같다는 생각을 해요. 사실, 이런 이미지는 세트를 제작할때도 자주 시도했었는데 우리 가족이 사는 집에서도 적용해 볼 수 있기를 오랫동안 바라왔죠. 흰 벽 속에 이렇게 진한 레드톤의 공간이 드러나는 것이 극명한 시각적 대비를 주기도 하고요.” 여기에 집이라는 점을 고려해 바닥에는 부드러운 촉감을 위한 카펫을 깔았고, 천장에는 간접조명을 달아 은은하게 색이 퍼지면서 신비로운 느낌이 감돈다.

 

안방처럼 구획이 나뉘어 있던 공간을 리노베이션한 다음 딥 그린 컬러로 마감했다. 복도를 기준으로 한 켠에는 파우더룸과 화장실이 자리한다.

 

계단을 오르면 아이 방과 부부 침실이 있는 2층으로 연결된다. 가장 처음 마주하는 로비에서 1층과는 사뭇 느낌이 다르다는 것이 왠지 흥미롭게 다가온다. 비현실적인 것을 경험하는 듯한 형형색색의 공간과 달리, 낮은 채도의 무늬목 강마루를 깔아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구현했기 때문. 이와 함께 이전 집에서 가져온 비슷한 톤의 모듈식 목제 책장이 벽면을 가득 메우고 있어 한층 온기를 더한다. 라운지 체어는 1층과 2층을 모두 아우르는 큰 창을 바라볼 수 있게 배치했는데, 종종 창 너머 풍경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는 가족의 습관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어김없이 2층에서도 강렬한 컬러로 채운 공간을 만나 볼수있다. 로열 블루 컬러로 도장한 프라이빗한 서재 겸 작업공간이 그 주인공. 부부 침실에 마련한 이 공간은 기존의 수납장을 개조한 것으로 문을 닫으면 흰벽처럼 숨겨져 있지만, 문을 열면 아늑하지만 강렬한 색이 쏟아지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시공 당시 원하는 색을 여기저기 적용하다 보니 레드, 그린, 블루의 삼원색 톤이 집에 구현되어 있더라고요. 처음 프로젝트명으로 지었던 점입가경 대신 이 집을 RGB 하우스로 명명했어요.”

 

지하실로 향하는 계단. 은은한 불빛과 어우러지는 붉은 계단이 한층 더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부부는 확고한 취향과 기준으로 완성된 가족의 타운하우스가 많은 이들의 방문을 환영할 수 있는 곳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직은 아니지만 상황이 좀 더 나아지면 이 집이 지인들을 위한 스테이 겸 커뮤니티가 되어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해요. 저희 부부는 당연히 즐겁지만, 아이가 더 많은 사람들을 경험했으면 하거든요. 사회에서 요구하는 정석적인 어른 말고도 그림을 그리는 어른 친구, 노래하는 어른 친구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삶을 꾸려가는 이들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면서 입체적인 어른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셈이죠.”

 

안방처럼 구획이 나뉘어 있던 공간을 리노베이션한 다음 딥 그린 컬러로 마감했다. 복도를 기준으로 한 켠에는 파우더룸과 화장실이 자리한다.

 

천장에 달린 프로젝터와 곳곳에 놓인 LP 등으로 지하실의 정체성을 짐작할 수 있다.

 

침실에 있던 옷장을 작업실로 변신시켰다. 문을 닫으면 평범한 장 같지만 문을 여는 순간 로열 블루 컬러가 펼쳐져 드라마틱한시각효과를 구현했다.

 

격벽에 창을 내 채광을 확보한 아이 방. 이질적으로 보일 법한 격벽 옆의 계단도 아이한테는 재미난 놀이도구가 된다.

 

아치형 입구에 들어서면 짧게 난 복도를 마주한다. 복도 끝에 있는 거울을 바라보는 기준으로 왼쪽은 파우더룸과 욕실 겸 화장실이, 오른쪽은 미닫이문을 달아 프라이빗한 드레스룸이 있다.

 

계단을 올라가면 마주하는 2층 로비는 휴식을 담당하는 장소다. 부부는 거실에 소파를 두지 않은 대신 이곳에서 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거나 독서를 한다.

 

반려묘가 지나다닐 수 있게 문의 하단에 작은 아치형 입구를 냈다.

 

지하실의 또 다른 뷰 포인트는 계단 밑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미니 벙커다. 아치형 입구가 돋보이는 아이를 위한 은신처 같은 곳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나의 일터 #림디자인

나의 일터 #림디자인

나의 일터 #림디자인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세 명의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작업실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사무실과는 다른 미적인 요소로 공간을 꾸민 이들의 작업실은 자신을 대변하는 또 다른 자아이다.

 

#림디자인

면적 100㎡
형태 상가
직원 10명
컨셉 오트밀 크림 톤으로 실내 전체를 마감한 이곳은 곡선의 형태를 띠는 소파와 라운지 체어,모던한 블랙 톤의 다이닝 테이블 등을 두어 소셜 살롱에 온 듯한 인상이다.

 

입구를 기준으로 중앙에는 로비 겸 라운지, 왼쪽에는 직원들의 사무 공간이있다.

 

막연하게 머릿속에 그려온 이상적인 집을 실체화시키는 일을 매일같이 해온 디자이너가 누군가의 바람 이 아니라 오롯이 자신을 위한 곳을 만든다면 어떤 공간이 될까. 하물며 휴식을 위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작업실이라는 뚜렷한 목적성을 띤다면 그 의문은 더욱 짙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누군가의 요구가 아닌 제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일은 항상 새로운 결의 작업인 것만 같아요. 제 자신과 절충의 과정을 거쳐야 하니까요.“최근 학동에 새롭게 사무실을 오픈한 인테리어 스튜디오 림디자인 이혜림 대표는 이런 의문에 강한 긍정의 답을 건넸다. 장안동에 위치했던 첫번째 사무실과 건대에 위치했던 두번째 사무실에 이어 지난해 12월, 벌써 세 번째로 일터를 옮긴 그였지만 말이다.

 

 

조심스레 그의 새로운 사무실 문을 열었더니 오트밀에 가까운 크림 톤으로 마감한 라운지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회화를 전공해서 색에 대한 고집이 있는편이에요. 이번 사무실은 화이트와 베이지 사이 중간 느낌의 색을 구현하고 싶었죠. 심플함과 따뜻함이 묘하게 공존하는 오트밀 크림 컬러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어요. 사람을 홀린다고 하나요? 이 색에는 그런 힘이 깃들어 있는 듯하거든요.” 상상하던 색을 구현하기 위해 몇 번이고 다시 벽을 칠해야했다고. 이와 함께 마치 곡선을 한데 모은 듯 블랙 톤의 삼손 체어와 우아하게 늘어진 소파 그리고 바닥과 선반에는 벽과 톤온톤으로 매치한 카펫과 도자, 조명이 진열되어 있어 클래식한 살롱을 방문한 듯한 느낌이었다.

 

오트밀 톤의 벽과 톤온톤으로 매치한 라운지에는 블랙 톤의 스피커를 포인트로 두었다.

 

“작업할 때 클래식한 곡선이 들어가는 가구나 시공을 선호하는 편이에 요. 곡선을 지향한다는 게 모나지 않고 편안함을 원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는데, 작업에 그런 마음이 저도 모르게 반영이 되나봐요. 문을 열자마자 보이는 이 라운지처럼요. 림디자인 사무실인 만큼 문을 여는 순간 작업 스타일을 마주할 수 있게 꾸몄죠.” 긴 직사각 구조로 된 100m2의 공간 에는 곡선 특유의 조형미가 담긴 라운지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함께 일하는 직원들을 위한 사무 공간과 자재를 놓을 수 있는 선반이, 오른쪽에는 클라이언트와의 상담이나 회의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함께 대표실이 있다.

 

직접 제작한 흑단무늬목 테이블을 중앙에 두어 무게감을 준 회의실 겸 상담실.

 

이혜림 대표가 특히 고심했던 곳은 바로 회의실 겸 상담실이다. 중앙에 놓인 흑단 무늬목으로 제작한 테이블과 조화를 이루는 블랙 톤의 펜던트 조명을 달아 한층 모던한 공간을 연출했다. 비교적 협소한 상담실이지만 큰 존재감을 주고 싶었던 이혜림 대표는 직접 테이블 상판의 크기부터 모서리 마감 등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썼다. 편안한 착석감을 위해 패브릭을 고르고 상담실 뒤편에 마련한 작은 정원을 꾸미는 일까지 모두 그녀의 손을 거쳤다. “클라이언트와 직접 대면하는 공간이잖아요. 상담실에 있는 모든 것이 림디자인이라는 인테리어 스튜디오를 이해하는 요소가 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직접 손으로 만지고, 눈으로 보고, 촉감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을 최대한 고려한거죠.”

 

사무 공간 뒤편에는 직원들이 자재를 보고 고를 수 있도록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나무 소재의 바와 슬라이딩 형태로 제작된 간살도어다. 클래식한 느낌이 감도는 크림 톤의 사무실과 따뜻한 나무 소재의 조화에서 그녀의 세밀한 위트가 느껴졌다. 함께 사무실을 둘러보며 이야기를 주고받던 이혜림 대표는 넌지시 아직 사무실이 완벽하게 정리되지 않았다는 말을 건넸다. “재밌는 건 이 공간을 꾸리면서 다시 한번 제가 좋아하는 것을 갈무리할 수 있었어요. 다만, 취향은 서서히 변하잖아요. 여러 소재와 가구, 공간을 접하면서 저만의 아카이브를 쌓아가고 그에 맞춰 제 취향의 결도 많이 달라질테니까요. 저도 또 이곳이 어떻게 변할지 그 모습이 기다려져요.” 그녀의 말에서 변화하는 이곳의 다음을 절로 기약하게 되었다.

 

슬라이딩 형태로 제작된 간살 도어가 인상적인 티 바.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 이향아

TAGS
THE ESSENCE OF HOUSE

THE ESSENCE OF HOUSE

THE ESSENCE OF HOUSE

건축가 오렐리앙 레스피나가 뼈대만 남기고 다시 지은 파리 아파트. 그는 본질에 집중하기 위해 부수적인 요소를 과감하게 정리했다.

 

스튜디오 AL이 디자인한 서랍장 ‘하와이 Hawai’ 위에 있는 조각은 질 드 케르베르소 Gilles de Kerversau의 작품. 석고, 대리석, 유리로 된 오브제는 스튜디오 AL 디자인.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벽 조명은 오렐리 트레몰리에르의 작품.

 

아내와 함께 130m²인 이 집에 처음 왔을 때 오렐리앙은 집에 대해 어떠한 기대도 하지 않았다. 1950년대 파리의 이런 건물은 매력도 없고, 구조도 형편없을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그의 예상은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그런데 그 아파트는 누구도 예기치 못할 반전이 숨어 있었는데, 바로 숨막히는 전망이었다. 개발제한구역 위로 내려다보이는 녹음의 바다가 정말 환상적이었다. 그는 이곳을 리노베이션할 가능성을 찾았고 바닥부터 천장까지 전부 다 허물었다. 단 천장을 가로지르는 들보와 구조를 지지하는 두 개의 기둥만 남겨놓았다.

 

스튜디오 AL이 디자인한 서랍장 ‘하와이 Hawai’ 위에 있는 조각은 질 드 케르베르소 Gilles de Kerversau의 작품. 석고, 대리석, 유리로 된 오브제는 스튜디오 AL 디자인.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벽 조명은 오렐리 트레몰리에르의 작품.

 

“모든 방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어야 해요. 뭔가를 감내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요.” 그는 이 원칙에 따라 투인원의 공간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현관은 서재이기도 해서 앉아서 책을 읽거나 신발 끈을 맬 수 있다. 집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복도는 유리창을 통해 빛이 잘드는 밝은 부엌이 되었다. 이 유리창을 통해 부엌에서 거실로 요리를 옮길 수 있다. 오렐리앙은 벽 전체에 만든 수납장을 감추기 위해 파티션을 활용했다. 이런 아이디어 덕분에 자질구레한 생활용품이 산만하게 보이지 않으며 데커레이션에 집중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조화를 위해 가구는 딱 맞게 놓아야 해요.” 그는 이전에 사용하던 가구 대신 스튜디오 AL과 함께 모든 가구를 새로 제작했다. 여기에 조형예술가인 아내 오렐리 트레몰리에르의 작품을 더했다. 그들은 대리석, 나무, 리넨, 양모 등 의 자연 소재를 아주 세심하게 사용했다. “자연에서 온 소재에서는 나름의 매력이 느껴져서 좋아요.” 지중해 연안에서 사는 사람이 일상에서 자연의 촉각을 맘껏 누릴 수 있는 집이다.

 

맞춤 제작한 테이블은 스튜디오 AL 디자인.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유리 꽃병은 마리-빅투아르 윙클러 Marie-Victoire Winckler의 제품. 에밀 테시에 Emile Tessier의 흰색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컵은 파이앙스리 다르 드 말리콘 Faienceries d’Art de Malicorne. 마르탱 아이슬러 Martin Eisler의 암체어와 벽 조명은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 벤치는 크리스티앙 아스튀그비에이유 디자인.

 

거실에 있는 카나페와 낮은 대리석 테이블은 스튜디오 AL 디자인. 흰색 볼은 아스티에 드 빌라트 Astier de Villatte. 나무 조각은 막심 페롤 Maxime Perrolle의 작품으로 마야로 Mayaro 갤러리에서 구입. 스칸디나비안 암체어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프린지 장식이 달린 타부레는 크리스티앙 아스튀그비에이유 디자인. 태피스트리는 툴르몽드 보샤르 Toulemonde Bochart. 오른쪽에 있는 둥근 테이블과 흙으로 된 머리 오브제는 스튜디오 AL 디자인. 브론즈 조명은 오렐리 트레몰리에르의 작품. 벽 가운데에 걸린 두개의 판화는 가엘다 브랭슈 Gael Davrinche의 작품. 왼쪽에 걸린 두 개의 뉴욕 석판화는 장-밥티스트 세슈레 Jean-Baptiste Secheret의 작품. 그 위에 걸린 사진은 루오 단 Luo Dan의 작품. 왼쪽에 있는 둥근 테이블은 스튜디오 AL 디자인. 이탈리아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부처 두상은 캄보디아에서 가져온 것. 조명은 플로스 Flos. 바닥재는 아르테아 Artea.

 

맞춤 제작한 밤나무 판재로 만든 가구와 가문비나무로 만든 흰색의 낮은 가구는 스튜디오 AL 디자인. 수전은 르프로이 브룩스 Lefroy Brooks. 앞에 보이는 석고, 대리석, 유리로 된 오브제는 스튜디오 AL 디자인.

 

가문비나무 가구와 카라레 대리석 세면 볼은 스튜디오 AL 디자인. 페인트 ‘인스틴트 Instinct’는 톨랑 Tollens의 토템 Totem 컬렉션. 수전은 르프로이 브룩스. 타부레는 튀니지의 스팍스 Sfax 메디나에서 가져왔다. 벽 조명은 크리스티앙 아스튀그비에이유의 디자인. 사진은 자비에 로이 Xavier Roy의 작품. 앤티크 프레임으로 만든 거울은 파리의 앙탕 롱탕 Antan Longtemps에서 구입.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디디에들마DidierDelma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