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트

나의 노트

나의 노트

하루는 언제나 ‘쓰기’로 시작한다. 책상에 앉아 처리해야 할 업무를 내리적고, 완료 후에는 하나씩 지워나가며 하루를 보낸다. 건망증 때문에 고생했던 막내 시절부터 시작된 습관이다.

 

 

수년간 여러 노트를 거쳤지만 얼마 전부터는 몰스킨 리포터 노트에 정착했다. 무뚝뚝한 검은색 커버에 턱 하니 걸쳐진 고무밴드 하나가 전부지만, 필기감도 좋으며 앙증맞은 크기까지 마음에 든다. 조금 부끄럽긴 하지만, 사실 이 노트에는 업무 뿐 아니라 업무 후하고 싶은 일도 적어 보고 있다. 현대 백화점 치즈 코너에 가서 셰브르 치즈를 산다, 레드텅에 가서 주말에 마실 와인을 고른다, 스탠리 큐브릭의 <샤이닝>을 본다 같은 소소한 일들 말이다. 백지 상태의 노트에 가까운 미래를 적으며 현실화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작가의 일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을 행복한 캐릭터로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재미 있는 미래들을 적어주고 있다. 최근 들어 새롭게 쓰기 시작한 노트도 있다. ‘베어 Bear’라는 애플리케이션인데, 레이아웃이 간결하면서도 유용한 기능이 많아 이런저런 기록용으로 쓴다. 책을 읽다가 마음에 드는 문장이 나오면 사진을 찍어 첨부하고 개인적인 느낌을 적는 식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나중에 소중한 추억이 되기에, 중2병에 걸린 마냥 감상적이고 주관적으로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 노년의 나에게 웃음을 선사하기 위해. “우리 입 밖으로 나온 말들, 맞이한 새벽들, 지냈던 도시들, 살았던 삶들 모두가 한데 끌려들어가 책의 페이지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고집이 자리 잡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건 존재하지 않게 되어버린다는, 존재한 적도 없게 되고 만다는 위험에 처할 테니까. 만사가 꿈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때가 오면, 오직 글쓰기로 보존된 것들만이 현실로 남아 있을 가능성을 갖는 것이다.” 얼마 전 읽었던 제임스 설터의 글귀는 이러한 생각에 쐐기를 박아주었다. 쓰는 행위는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가. 시간을 이길 수는 없지만, 작은 기록 하나로 우리는 빛나는 시간을 조금이나마 붙들 수 있다.

 

몰스킨 리포터 노트

CREDIT

에디터

TAGS
자연 그리고 休

자연 그리고 休

자연 그리고 休

세계적으로 한국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30여 년간 한국 전통의 오리지널리티에 근간을 둔 컨템포러리 디자인 및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 온 텍스타일 브랜드 모노 콜렉션도 그 중 하나다.

 

모노콜렉션의 새로운 보금자리 파주 무늬집의 풍경.

 

금강산도를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원단으로 포인트를 준 공간.

 

모노콜렉션을 경기도 파주에서 만났다. 지난해 12월 말 서울 창성동에서 이전한 모노콜렉션은 파주 출판단지에 위치하는데, 엄연히 따지면 파주 영어마을에서 가까운 곳에 있다. 작년에 우연히 이곳을 보고 즉흥적으로 이사를 결정했지만, 집과 20분 정도 떨어져 있다는 편리한 접근성과 양병용 작가와 일상도구 등 결이 맞는 작가들이 이웃해 있다는 사실도 파주행을 택하는 데 한몫했다. 쇼룸과 사무실을 겸하는 모노콜렉션에는 늘 그렇듯 유려한 자연의 멋을 입은 원단으로 가득하다. 쇼룸 가운데 있는 유리 테이블 아래 장식되어 있는 것을 구경하는 사이, 부채 모양의 나무 트레이에 소박한 차 한잔을 올린다. “서울에 있는 사람들이 좀 편히볼 수 있게 옥인다실에도 제품을 갖다 놨어. 지금 그건 노영희의 그릇 가게에서 팝업 스토어를 했을 때 물건이고.” 복잡한 서울에서 한발 떨어진 삶을 유유자적 즐기고 있는 선생의 얼굴이 한껏 여유로워 보인다.

 

부와 번영, 보호의 의미를 지닌 물고기 오브제.

 

모노콜렉션의 새로운 보금자리 파주 무늬집의 풍경.

 

새롭게 선보이는 옻칠한 부챗살 모양의 차 트레이.

 

작년 5월, 하지훈 교수와 콜라보레이션으로 했던 전시 <차경, 운경고택을 즐기다>는 25년 만에 문을 연 서울 시내의 한옥에서 열렸는데, 우리 고유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인 아름다움이 서정적인 고택과 어우러져 많은 사람들을 감흥에 젖게 했다. 이 전시는 덴마크 명품 가구 브랜드 칼한센앤선 Carl Hansen&Son과의 인연에 다리 역할을 해주었다. “운경고택에서 전시를 관람했던 칼한센앤선 대표의 아내 잉거 Inger가 즉흥적으로 덴마크 코펜하겐에서의 전시와 팝업 스토어에 초대해주었어. 중정 갤러리에서 전시했던 <느티>와 백 가지의 쿠션을 기획해 거의 3달 동안 팝업 스토어를 운영했는데 덴마크 현지인들에게 한국의 아름다움과 나만의 디자인 철학을 전하고 질의 응답하는 뜻깊은 시간을 갖기도 했지.” 스칸디나비안 디자인과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디자인은 원천적으로 휴먼 스케일을 토대로 하고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인간중심적이며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모토로 삶과 공간 그리고 생활을 하나로 묶는 것이야말로 궁극적으로 행복을 전하는 디자인이 아닐까 싶다.

add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503 1층
tel 02-517-5170

 

현장에서 작품을 세팅하고 있다 찰칵.

 

지난해 10월 24일 부터 올해 1월 24일까지 3개월간 덴마크 코펜하겐의 칼한센앤선 매장에서 열린 팝업 스토어의 모습.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예린

TAGS
과정을 즐기는 사람들

과정을 즐기는 사람들

과정을 즐기는 사람들

과정 자체에 의미를 두고 계획한 것을 이어나가는 이들이 있다. 여덟 개의 쓰임새를 지닌 공간으로 이뤄진 신촌문화관의 주인장들이다.

 

김수연 대표의 누비 작업실이자 사무실. 담백하고 깔끔한 스타일이 그녀와 닮아 있다.

 

결혼 8년차이지만 여전히 마주 보면 웃음이 나오는 부부의 모습이 정겹다.

 

노후된 건물, 빽빽하게 들어선 원룸 건물이 밀집한 신촌에서 40년간 자리를 지킨 낡은 건물은 주인장인 김수연, 니콜라스라는 애칭을 지닌 임상완 부부 덕분에 ‘신촌문화관’이라는 이름을 걸고 다시 태어났다. 이들 부부는 각각 브랜딩과 IT업계에서 오랜 시간 몸담았지만 하던 일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을 도모했다. “어느 순간 일에 지쳐있는 자신을 발견했고 잠시 숨을 고를때라는 걸 알았어요. 누비 작업을 좋아해서 틈틈이 해왔고 본격적으로 배우면서 사업으로 연결시켜볼 생각이었죠. 그래서 쇼룸을 찾고 있었는데 낡은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사용해보자는 결론을 내렸어요.” 김수연 대표가 건물의 시작점을 설명했다. 부부는 낡은 건물을 허물고 신축 건물을 지을까도 고민했지만, 다양한 입주자를 거치면서 꿋꿋하게 버텨온 건물의 내공을 존중하기로 했다. 두 채가 이어져 있는 독특한 형태의 건물은 총 여덟 개의 호실로 나뉜다. “오래된 건물이고, 신촌문화관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호실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었어요. 그리고 간단하고 직관적인 용도로 공간을 나누었죠. 예를 들어 2호실은 전시를 위한 빈 공간이지만 갤러리 대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 플로어 Floor라는 이름을 붙였고요, 작가나 작은 사무실을 찾는 이들을 위해 4 · 6호실은 스튜디오라는 이름을 붙였죠.” 니콜라스가 커피를 내리며 설명했다. 그는 굉장한 커피 애호가인데 몇 년간 꾸준히 커피에 대해 공부했고 현재 건물 2층에 위치한 벤치 커피 스튜디오에서 호주의 싱글오 Single O 원두를 공식으로 선보이고 있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누비 작업.

 

벤치 커피 스튜디오는 호주의 원두 브랜드 싱글오의 공식 딜러이며 원두를 판매하기도 한다.

 

앉을 수 있는 의자와 벤치가 유난히 많았던 공간.

 

밝은 햇살과 나무 소재, 누비 작품이 차분하게 어우러졌다.

 

미술관, 공원 등 벤치가 놓인 곳에서는 언제라도 편하게 앉아서 쉴 수 있다는 생각에 익숙한 ‘벤치’라는 단어를 선택했고, 커피에 대한 진지한 접근을 스튜디오라는 단어로 뒷받침했다. 바로 위층인 LIMN은 김수연 대표의 누비 작업을 볼 수 있는 작업실 겸 쇼룸으로 준비 중이다. 그녀가 만든 고운 누비 작품은 에어 비앤비로 사용할 7·8호실에서도 볼 수 있는데, 한 땀 한 땀 기운 조각에서 부드러운 정성이 느껴졌다. 꽤 많은 공간을 보유한 신촌문화관은 누군가에게는 잠시 머무는 집이 될 수도 있고, 작가에게는 전시 공간, 때로는 커피를 마시거나 누비 제품을 보기 위해 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무한히 열려 있는 가능성이 이곳의 매력인 셈이다. 시국이 잠잠해지면 테라스 공간을 오픈할 계획도 세웠다. “코로나19로 지역사회가 활기를 잃었어요. 오픈 초기여서 이런 상황이 아쉽기도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이 즐거웠고, 여전히 그 과정 안에 있다고 생각해요” 라는 니콜라스의 말처럼 신촌문화관은 미완성을 자처하며 계속 채워나갈 것이다.

 

소규모 클래스, 케이터링을 위한 키친 공간.

 

‘플로어’에서 전시 중인 청록화 작가의 작품.

 

계단 높이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건물 입구.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예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