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우리만의 집

다시, 우리만의 집

다시, 우리만의 집

남편은 하늘을 좋아했고, 아내는 땅을 그리워했다. 조선시대의 고리타분한 이야기가 아니다. 각자 느끼는 아름다움은 달랐지만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한집에서 이를 절충한 어느 부부의 이야기다.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파파 베어 체어와 거실 벽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 이미 크뇌벨 Imi Knoebel의 입체적인 페인팅 작품.

 

자녀들이 모두 출가한 60대 부부는 255m²넓이의 집을 고치기로했다. 주인이 떠나고 남은 방과 공용 공간을 각자 좋아하는 스타일과 취향을 담아 변화시키기로 한 것이다. 이는 아내의 오랜 바람이기도 했다. 부부는 서로 추구하는 바가 달랐다. 남편은 51층의 스카이뷰를 좋아했고, 날씨가 좋을 때면 또렷하게 보이는 아름다운 자연의 능선을 고층에서 즐겼다. 반면 아내는 땅과 가까워지고 싶었다. 식 물을 가꾸고, 땅의 기운을 느끼면서 말이다. 집을 이사할 수는 없기에 고층 아파트는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Studio HJRK의 김혜진 디자이너는 아내를 위해 땅의 안정적인 느낌을 집안 곳곳에 심기로 했다. 서로 다르지만 조금씩 절충하고 양보해서 리모델링한 집은 그렇게 완성됐다. 이집을 사진으로만 본다면 창문을 통해 보이는 풍경을 보지 않는 한 층이 아주 높다는 생각이 잘 들지 않을 것이다. 비밀은 컬러에 있다. 테라코타 색,짙은 포도색, 월넛나무의 색 등 어스 Earth, 즉 땅의 색감을 집안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거실부터 주방 가구, 방문과 커튼 등의 패브릭 컬러도 중성적인 뉴트럴 컬러를 적용해 집이 따뜻하고 포근하다.

 

프랑스 유리 작가의 구름 같은 조명과 벽에 건 이광호 작가의 ‘The Moment of Eclipse’ 작품 두 점이 어우러진 다이닝 공간. 여러 명이 둘러앉아 식사를 하기에도 좋은 식탁은 크리스토프 델쿠르트의 제품.

 

식탁에서 바라본 거실. 소파와 커피 테이블, 스툴은 모두 프랑스 디자이너 피에르 오귀스탕 호즈의 제품이다. 거실 섀시가 두드러지지 않게 통창을 3등분한 것도 색다르다.

 

아내를 위한 티룸 혹은 다도실. 한지를 바른 책장과 조명은 Studio HJRK에서 제작한 것이다. 월넛 가구와 어우러져 단정한 느낌을 주는 방.

 

김혜진 디자이너는 “땅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마음을 알 것 같았어요. 그래서 최대한 흙과 비슷한 컬러를 집 안에 적용하고자 했죠. 처음 집을 디자인할 때의 컨셉트도 ‘From the Earth’였거든요. 컬러 외에도 안방과 서재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를 확장해서 식물도 두고 앉아서 책을 읽거나 아내분이 조용히 기도를 할 수 있는 작은 테라스를 만들었고요, 욕실 샤워부스 위에도 조명을 설치해 마치 해가 잘 들어오는 리조트의 욕실 같아요”라며 세심하게 신경 쓴 디자인 요소를 설명했다. 자녀들이 사용하던 방은 아내와 남편이 각자의 취미 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꾸몄다. 음악을 좋아하는 남편은 방에 CD와 LP를 보관할 수 있는 가구를 두었고, 나무 간살 문을 열면 작은 테라스로 이어져 아내와 함께 음악을 들을 수도 있다. 간결한 디자인의 책상은 이재하 작가가 윤라희 작가와 협업해 원목과 아크릴 소재로 만든 것. 묵직한 서재의 분위기에 산뜻한 포인트 가구다.

 

아난보의 파노라마 벽지를 붙여 마감한 옷장.

 

차를 즐기고, 조용히 기도를 하거나 식물을 돌보는 취미를 지닌 아내.

 

티룸 한켠의 수납장을 열면 오직 아내를 위한 차 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나온다.

 

남편의 공간이 음악이라면 아내의 공간은 티룸이다. 세로로 긴 여닫이 문을 열면 차 도구를 예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버건디 컬러의 벽에 선반을 짜넣은 작은 수납 공간이 나오고, 게스트룸과 맞닿아있는 나무 격자 문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긴 나무 테이블에 앉아 있으면 게스트룸의 옷장이 정면으로 보이는데, 김혜진 디자이너는 옷장 표면에 브랜드 아난보의 파노라마 벽지를 발라 창문 너머의 풍경처럼 연출했다. 그녀는 “이음새가 있는 옷장에 벽지를 붙이는 작업도 까다롭지만 특히 파노라마 벽지는 붙인 다음 하나의 그림처럼 보여야 하기 때문에 더 어렵고세심한 작업이죠. 그래서 옷장의 틈새도 최소화했어요. 격자문을 열고 테이블에 앉아 있으면 흑백의 산수화를 보는 것처럼 몽환적이고 동양적인 분위기를 느낄수있어요. 여기에 따뜻한 차한잔을 곁들이면 고층 아파트에서도 단독 주택의 기분을 낼 수 있지 않을까 싶었죠”라며 아내의 마음을 대변했다. 실제 풍경은 아니지만 옷장에 그려진 자연 풍경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왠지 근사한 찻자리가 될 것 같은 느낌이다.

 

테라코타색, 와인색, 나무색 등 땅의 색감을 담은 집.

 

음악과 독서를 즐기는 남편을 위한 방.

 

LP부터 악보와 음반을 보관하기 위한 캐비닛은 이재하 작가의 작업으로 도어에 통가죽을 입혔고 녹인 주석을 나무 사이에 부어서 제작한 손잡이가 특징이다.

 

남편의 서재에서 이어지는 작은 테라스. 식물도 두어 마당처럼 연출했다. 커튼은 유앤어스의 데다 Dedar 원단으로제작한 것.

 

최근에는 옷장을 월 커버링으로마감하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김혜진 디자이너는 별다른 가구 없이 단순하게 연출한 침실에서도 에르메스 벽지를 옷장에 붙여 공간의 심심함도 덜고, 가구가 아닌 벽처럼 보이는 효과도 냈다. 이와 같은 디자인 요소 외에도 이 집에서는 가구를 둘러보는 재미도 발견할 수 있다. 요즘 SNS를 통해 볼 수 있는 가구나 소품은 많지 않다. 몇 개월씩 기다려 배송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었지만, 최근 유행하는 가구나 조명은 지양했다. 주방 벽의 타일도 디자인적으로 가장 근접한 제품을 찾기 위해 이탈리아에서 직접 주문했고, 복도 벽에 걸린 허윤영 작가의 조명이나 윤라희 작가, 제레미 맥스웰 등 국내 외 작가들의 작품도 적극 활용했다. 뿐만 아니라 가지고 있던 파파 베어 체어를 비롯해 크리스토프 델쿠르트, B&B 이탈리아 등 모던하고 고급스러운 스타일의 가구로 집 안을 채웠다. 함께 또 따로 하는 삶에 대한 노하우가 반영된 이집은 많은 부부에게 이상적인 가이드가 될 것이다. 100세 시대에 60대는 더 이상 노년기가 아닌 중년기라고 한다. 부부는 다시 신혼처럼 둘만의 집을 갖게 된 시점에 적극적으로 집을 다시 매만졌다. 어떤 디자인 가구보다도 남은 삶에 대한 설렘과 열정이 이 집의 진정한 키워드다.

 

위에서 해가 들어오는 것처럼 밝고 화사한 샤워 공간.

 

도널드 저드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메일 박스 가구는 문서를 모아두는 남편을 위한 것이다.

 

데드 스페이스에 놓인 가구나 거울 같은 소품도 오브제처럼 특색있는 것으로 골랐다.

 

에르메스 벽지를 발라서 마감한 옷장. 언뜻 보면 하나의 벽면처럼 깔끔하게 마감한 것이 특징이다. 포인트가 된 3면 거울은 미노티 제품.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한성훈

TAGS
PAUL’S WORLD

PAUL’S WORLD

PAUL’S WORLD

빔 인터랙티브 사옥은 디지털 컨버전스 디자이너 조홍래 대표의 남다른 세계관이 구현된 곳이다.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혼재된 공간은 그간 보지 못했던 색다른 그림으로 다가왔다.

 

건물 최상층에 위치한 라운지. 집을 모티프로 한 공간은 15°씩 각도를 비틀어 재미를 주었다. 디지털 테라피를 컨셉트로 꾸몄으며, 집에 들어설 때 자동으로 몸 상태가 측정되고 그에 맞는 색과 향, 음악 등이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컴컴한 집이 나를 마주하는 게 아니라 두통 완화에 좋은 로즈마리 향과 나에게 필요한 색, C 메이저의 음악이 맞이하는 거죠. 그런 개념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곳을 만들고 싶었어요.” 조홍래 대표의 설명이다.

 

젠 스타일로 꾸민 라운지 테라스. 초대형 크기를 자랑하는 단풍나무를 식재했다.

 

빔 인터랙티브 조홍래 대표. 파이프오르간은 1차 세계대전 당시 수녀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벽면 유리창은 소프트웨어로 가공해 신호에 따라 투명과 불투명 사이를 반복한다.

 

집처럼 꾸민 5층 라운지 공간

 

층계에 있는 벽면을 뚫고 그 안에 작품을 걸었다. 

 

1차 세계대전 때 만들어진 파이프오르간 위로 LED 횃불이 불 타오른다. 액체 자석으로 만든 오브제가 하나의 생물처럼 액자 속을 굴러다닌다. 빔 인터랙티브의 사옥을 둘러보며 가장 많이 내뱉은 단어는 ‘우와’다. 조홍래 대표의 기발한 상상력이 현실로 표현 된 공간을 돌아다니다 보니 동공은 연신 바삐 움직여야 했다. 2년 반이 라는 시간을 들여, 그가 설계부터 건축까지 모두 직접 참여한 건물은 지금까지 보았던 일반적인 것과는 많이 달랐다. “컨셉트는 언익스펙티 드 Unexpected예요. 디지털의 묘미가 그런 것 같아요. 예상 못했는데 갑자기 드라마를 더해 크게 연출할 수도 있고, 물리적 공간이 갖고 있 는 한계를 디지털로 위트를 더해 극대화시킬 수도 있고. 그걸 이 공간 에서 보여줘야겠다 싶었어요.” 컨버전스(융합) 디자이너인 조홍래 대 표의 주된 일은 디지털을 사용해 뉘앙스를 만드는 것이다. 어릴 때 꿈 이었던 만화가처럼 그는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많은 것을 현실 속에 구현해놓았고, 디지털은 그의 가장 익숙한 도구다. 빔 인터랙티브의 포트 폴리오를 일일이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코엑스 전시장의 뉴미 디어, 현대 모터 스튜디오, 스타필드 전체 미디어, 한국타이어 R&D 뉴 미디어 회의실, 이태리 명품 브랜드 콜롬보와 영국 헤롯백화점의 트랜 스룩 설치 등 눈길을 끄는 다수의 프로젝트가 여기서 나왔다.

 

보는 각도에 따라 색다른 느낌을 내는 계단.

 

논현동 빔 인터랙티브는 그의 아홉 번째 사옥. 20대 후반이라는 이른 나이에 창업하며, 그때마다 직접 인테리어를 할 수 밖에 없었는데 자연스레 건축에대한 관심이 생겼다고 했다. 사옥의 인테리어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클래식과 모던이 혼재되어 있는데, 건물을 디자인하면서 가장 신경 쓴 것은 바로 융합이라고 했다. “컨버전스 디자이너라는 이름처럼 건물 역시 여러 가지를 섞었어요. 그런데 잘 섞이게 하는 게 중요하더라고요. 어찌 보면 제게는 훈련이죠. 서로 어울리는지 계속 매칭해보고, 사람들의 반응까지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디지털이라고 하면 으레 차가운 느낌이 드는 데 반해, 그의 사옥은 전체적으로 따스한 느낌이다. 지하 쇼룸에서 만난 그의 작품 역시 그렇다. 사랑을 주제로 한 3연작 시리즈는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작업이지만 따듯한 느낌이 물씬 묻어난다. 참고로 조홍래 대표는 폴 씨 aPul.C라는 이름으로 미디어아티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는 뼛속 깊이 아날로그예요. 단지 운이 좋아서 디지털을 빨리 알게 된 거죠. 엑스 세대가 중간에 끼어 있잖아요. 아날로그의 향수도 이해하고 있고, 디지털을 빨리 접한 세대이기도 하고요.” 머릿속에 있는 것을 모두 구현하고 있는 그의 일상은 절대 여유롭지는 않을 것만 같았다. 어찌 보면 워라벨을 지켜가며 여유 있는 삶을 계획할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그 이유를 묻자 그는 무척이나 간단명료하게 답했다. “표현에 대한 욕구 때문인 것 같아요. 아직도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아요. 음악도 좋아해서 곧 디지털 싱글을 낼 계획도 있고요. 바쁜데 괜찮냐고요? 그럼요. 너무 재밌거든요.”

 

오른쪽에 걸린 사진은 김용호 작가의 ‘피안’. 물에 하루 종일 들어가서 촬영한 것으로 그 뉘앙스를 함께 느꼈으면 하는 마음으로 맞은편 소파의 단을 낮게 두었다.

 

벽면 대신 투명한 선인장 박스로 공간을 나눴다.

 

빔 인터랙티브가 위치한 폴링맨션의 2층 갤러리. 김중만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큰 창문을 두어 지하까지 햇살의 느낌이 닿을 수 있게 했다.

 

자석을 액체화한 뒤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게 만든 액자 오브제.

 

1층 로비에 위치한 창문은 회사명 빔 VEAM의 이니셜을 토대로 만든 것이다. 다이크로익 창문을 사용해 빛에 따라 내부의 색이 변한다.

 

조홍래 대표의 사무실 공간. 이케아의 독특한 조명을 달아 미래적인 분위기를 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조화가 돋보이는 빔의 로비 전경.

 

입구에 붙어 있는 V는 빔 인터랙티브와 바이널 아이의 ‘V’를 모티브로 10년 전 만든 것이다.

 

지하에 위치한 쇼룸에서는 조홍래 대표가 미디어아티스트로 활동한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R&D실에서는 프로젝트 준비가 한창이다.

 

건축가가 아닌 디자이너의 언어로 만든 공간은 일반적인 건물과는 사뭇 다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파리의 파스텔 컬러 아파트

파리의 파스텔 컬러 아파트

파리의 파스텔 컬러 아파트

오르넬라 아부아프가 데커레이터라는 직업을 갖게 된 건 운명이었다. 그녀는 프랑스 북부의 뇌이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를 독특한 분위기로 연출했다. 여러 스타일을 뒤섞고 핑크와 그린을 주인공으로 파스텔 톤을 과감하게 사용했다.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의 패브릭으로 커버링한 카나페가 암체어의 등나무로 엮인 부분과 대조를 이룬다. 등나무 암체어 ‘콜로니 Colony’는 스테판 크리보카픽 Stefan Krivokapic 디자인으로 스튜디오 스크리보 Studio Skrivo, 더콘란숍 The Conran Shop에서 판매. 쿠션 ‘롸조 로즈 L’oiseau’와 ‘라 빌 La Ville’은 자크 디자인 Jacques Design. 낮은 테이블 ‘플래너 Platner’ 위에 있는 트레이와 커피잔은 홈 오투르 뒤 몽드 Home Autour du Monde. 꽃병 ‘밤부’는 해비태트 Habitat. 촛대와 검은색과 옅은 핑크색 세라믹 잔은 메종 사라 라부안 Maison Sarah Lavoine. 플로어 조명 ‘IC 라이트 플로어 2 IC Lights Floor 2’는 마이클 아나스타시아드 Michael Anastassiades 디자인으로 플로스. 타부레는 인디아 마다비 India Mahdavi×모노프리 Monoprix. 태피스트리는 킬림스 아다 Kilims Ada. 맞춤 제작한 책장 안에 있는 무라노 유리 제품은 베니스에서 가져온 것. 촛대는 헤이. 오렌지색 조명 ‘네시노 Nessino’는 지안카를로 마티올리 Giancarlo Mattioli 디자인으로 아르테미데 Artemide. 테라코타 꽃병 ‘리지 Ridge’는 무토 제품으로 메이드 인 디자인에서 판매. 책 컬렉션은 아술린 Assouline. 커튼은 오르넬라가 리넨으로 제작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빨리 정착할 수 있는 집을 찾곤 한다. 하지만 오르넬라는 ‘모든 것을 고쳐야 하는 집!’을 원했다. 그녀는 오래전부터 데커레이터를 꿈꾸며 자신의 집을 차례차례 손봤다. 단지 정식으로 사무실을 오픈하지 못했을 뿐이다. 그러다 뇌이 Neuilly에 위치한 145㎡의 이 집을 찾으면서 운명이 찾아왔다. 그녀는 공사 초반에 쌍둥이를 임신했고 갑자기 아이가 넷이나 된 것이다. 이 일로 몸과 마음이 바빠진 그녀는 새로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모든 시간을 쏟기 위해 일을 그만두었다. “모든 걸 손봐야 했어요. 침실은 두 개뿐이고 거실은 너무 넓어서 구조를 전부 다시 구성했어요. 데커레이션도 이 집이 지어진 1970년대 그대로였으니까요.” 오르넬라는 이 집에 대한 데커레이션 방향을 확고히 결정했다. 다양한 스타일과 시대를 섞고 인테리어에 생기와 개성을 부여하기 위해 컬러를 과감하게 사용했다. “위험을 감수했어요. 특히 다양한 대리석으로 만든 현관 바닥과 녹색 래커를 칠한 책장이 그렇죠. 그래도 결과는 마음에 들어요.” 현관과 부엌 벽에 옅은 핑크색을 칠한 것도 모험이었다. “핑크색은 부드러움과 너무 과하지 않은 여성스러움을 주는데, 사람들은 여자아이 옷만 떠올리곤 해요. 핑크색이 다른 색들과 얼마나 잘 어울리는데요.” 오르넬라는 방 6개를 갖춘 새 집에 자리를 잡자마자 또 다른 도전을 시작했다. 꽃 장식이 있는 도자 접시 컬렉션과 베셀 Vessel 디자인(포르투갈 도예가들이 제작)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제 어떤 것도 그녀의 의지를 막을 수는 없다.

 

오르넬라 아부아프는 데커레이션을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여러 스타일을 섞는 것을 망설이면 안 된다고 강조한다. 

 

기분 좋은 핑크색이 현관에서 방문객을 맞이한다. 핑크색 페인트 ‘블루미 스트리트 Bloome Street’는 르수르스 Ressources×사라 라부안 Sarah Lavoine. 맞춤 제작한 벤치는 에르메스 패브릭으로 커버링했고 유리를 끼운 창 ‘아피니테 n°2 Affinites n°2’는 보르라르 스튜디오 Beauregard Studio에서 제작. 라디에이터 커버와 꽃병 ‘잉카 Inka’는 홈 오투르 뒤 몽드 Home Autour du Monde.

 

대리석 테이블 ‘샤리넨 Saarinen’ 위에 있는 세 개의 꽃병 시리즈는 폴스 포텐 Pols Potten 제품으로 홈 오투르 뒤 몽드에서 판매. 의자는 로라 곤잘레스 Laura Gonzalez가 피에르 프레이를 위해 디자인한 패브릭으로 커버링했다. 사진은 옐로 코너 Yellow Korner. 펜던트 조명은 무라노 유리로 주문 제작했다.

 

컬러 패치워크로 즐거운 분위기를 만든 침실. 벽에 칠한 페인트 ‘트레론 Treron’과 ‘조아스 화이트 Joa’s White’, ‘프루트 풀 Fruit Fool’, ‘오렌주리 Orangery’는 모두 패로&볼 Farrow&Ball. 침대 헤드보드는 맞춤 제작한 것으로 인디아 마다비가 피에르 프레이를 위해 디자인한 패브릭으로 커버링했다. 침구는 AM. PM. 침대 옆에는 테이블 대신 올리브 그린 컬러의 타부레를 놓았다. 인디아 마다비×모노프리. 조명은 장그라 Zangra. 초는 딥디크.

 

맞춤 제작한 테이블에는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조각 같은 형태로 매우 장식적인 다리를 달았다. 카나페 ‘튜브’는 무토 제품으로 메이드 인 디자인에서 판매. 에르메스 패브릭으로 커버링한 벤치는 맞춤 제작. 타부레는 인디아 마다비×모노프리. 유리창 앞에 있는 체크 패턴 꽃명은 해비태트. 싱크대 벽에는 젤리주 타일을 붙였다. 모자이크 팩토리 Mosaic Factory에서 판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알렉상드라 뫼랑 Alexandra Meurant

writer

크리스틴 피로-에브라 Christine Pirot-Hebra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