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에 갈대와 기러기를 수놓은 자수노안도 10폭 병풍. 19~20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며, 노후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사전가 직물관은 자수박물관 허동화 관장이 생전에 기증한 5000여 점의 자수 작품을 중심으로 상설 전시가 열린다. 사진은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전시에서 호평을 받았던 골무의 모습.
런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 파리 국립장식미술박물관을 가본 적이 있는지? 이들 박물관은 공예를 기반으로 한 아름다운 전시로 세계를 사로잡고 있기에 죽기 전에 꼭 한번 가봐야 할 곳으로 꼽힌다. 그간 국내에는 공예 박물관이 없어 아쉬웠는데, 오는 7월 드디어 문을 열기에 모두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공예박물관은 국립현대미술관과 유명 갤러리가 모여있는 서울 안국역 부근에 자리 잡아 새로운 명소로 등극할 예정이다. 1940년부터 하나 둘씩 지어진 풍문여자고등학교 건물 5 개동을 부수지 않고 현대적으로 리모델링해 완공했다는 것이 의미 있다. 공모를 통한 설계안을 발전시켜 행림건축과 건축가 송하엽, 천장환이 리노베이션에 참여했다. 김정화 관장은 ‘골목길’이 서울공예박물관의 리모델링 컨셉트라고 설명했다.
“서울공예박물관은 담장이 없습니다. 기존 5개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안내동 1개만 새로 건축했는데요. 시민들이 언제든지 정원에 들어와 공예가가 만든 의자에 앉아서 쉴 수 있습니다. 야외에서도 우리 공예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삐뚤삐뚤 구불구불한 골목처럼 박물관 전체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난 3년간 개관을 진두지휘한 김정화 관장은 김종영미술관, 경기도어린이미술관, 서울여자대학교박물관 개관을 담당했던 경험을 백분 발휘해 벌써부터 기대 이상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과거의 공예가 현대미술과 연결되는 것처럼 과거의 건축물은 현재의 북촌과 연결되어 21세기 문화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김헌철 작가의 눈부시게 빛나는 유리 샹들리에 작품이 안내동에 영구 설치된다.
한국공예박물관의 개관을 진두지휘한 김정화 관장이 이재순 작가가 만든 의자에 앉아 있다.
최병훈 작가의 물푸레나무 의자와 현무암 데스크가 전시 1동을 찾는 관람객을 맞이한다.
지난 6월 16일, 이례적으로 개관을 한 달 앞두고 ‘오브젝트9’을 발표했다. 개관에는 3개의 전시동에서 12개의 전시가 열리기에 오브젝트9을 미리 소개하고자 한 것이다. 오브젝트9은 9명의 작가들이 9점의 작품을 박물관 곳곳에 배치해 관람객이 실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전 프로젝트다. 추천과 공모를 통해 27명의 작가를 선정했고, 최종적으로 9명의 작가의 작품이 선정됐다.
김정화 관장은 21세기는 공예와 디자인, 현대미술을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오브젝트9의 참여 작가도 장르를 분류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다채롭게 선정했다.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오자마자 보이는 서울공예박물관의 외관은 전시3동 사전가 직물관이다. 한국자수박물관 허동화 관장이 생전에 기증한 5000여 점의 자수 작품이 이곳에서 상설 전시된다. 이 건물의 외관은 오브젝트9의 강석영 작가가 도자로 아름답게 장식했다. 박물관이 위치한 북촌이 역사적으로도 의미 깊은 동네이기에 청자, 백자, 분청으로 외벽을 마무리한 것. 강석영 작가는 이를 위해 4000장이 넘는 도자를 구웠고, 2000장의 도자가 사용됐다. 마치 원래 그런 벽이었던 것처럼 북촌에 스며들어 있는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전시3동 옆 문으로 들어서면 새로 지은 건물 안내동을 마주하게 된다. 천장에서 눈부시게 빛나는 붉은색 유리 작품은 김헌철 작가의 작품이다. 10m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데, 낮에는 햇살을 반사하고 밤에는 LED 조명과 함께 반짝인다. 섭씨 1200℃의 용해된 유리를 파이프에 말아 입으로 불어서 만든 블로잉 기법으로 만들기에 164개의 유리 모래시계는 하나도 같은 모양이 없다.
기존 건물의 특징을 활용한 교육동의 독특한 데라코타 외관.
박원민 작가의 딸기 색깔 레진 데스크는 교육동 1층에 설치되었다.
바로 맞은편에는 이헌정 작가의 하늘빛 도자 안내 데스크와 의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헌정 작가는 리셉션 데스크는 박물관의 얼굴이기 때문에 관람객에게 친근한 첫인상을 선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작품의 제목은 정현종 시인으로 시에서 따온 ‘섬’으로 지었습니다. 이 작품이 조각과 공예 사이, 박물관과 관람객 사이에서 다리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서울공예박물관에는 오브젝트9을 통한 3개의 안내 데스크와 유진경 소목장의 작품 등 총 4개의 안내 데스크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박물관에 담장이 없고 6개의 건축물이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입구마다 안내 데스크를 설치한 결과다.
전시3동 1층의 안내 데스크는 유진경 소목장이 만들었고, 한창균 작가가 만든 대나무 의자들이 관람객에게 휴식을 선사한다. 한창균 작가는 담양에 있는 자신의 대나무밭에서 직접 채취한 대나무로 이 아름다운 의자를 만들었다. 의자마다 모두 짜임이 달라 감상하는 재미가 있다. 직접 앉았을 때의 안락함도 크기 때문에 관람객의 인기를 모을 것 같다. 오가는 시민을 배려해 조경에도 많은 관심을 쏟았다. 공예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인 옻나무, 대나 무, 소나무, 싸리나무를 중심으로 수국, 매화나무, 겹해당화 등이 사계절 내내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이헌정 작가의 푸른색 도자 작품은 안내동 인포메이션 데스크로 사용한다.
과거 풍문여고의 운동장이었던 너른 광장에 배치된 도자 의자 30여 개는 이강효 작가의 작품이다. 매화나무와 겹해당화가 만발한 나무 아래 점점이 놓여 있는데, 제각기 다른 모양이라 흥미진진하다. 직접 배합한 흙으로 만든 분청 의자는 보기와 달리 매우 무거워서 성인 남성 3명이 들어도 옮기기 힘들 정도다. 교육동과 전시2동 사이에는 400년 된 은행나무 아래 이재순 작가의 돌 의자가 펼쳐진다. 이 문을 통과하면 늙지 않는다는 불로문 不老門 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돌문은 관람객에게 희망을 메시지를 전한다. “돌문은 당초와 꽃 문양을 수놓았고 계단식 조경 사이로 전국의 돌로 만든 의자를 놓아 화합을 표현했습니다. 제주도 검은 돌에서부터 마천, 경주, 보령, 원주 등 전국 각지의 돌 의자가 모두 다릅니다.” 돌 의자는 위가 약간 볼록해 빗물이 고이지 않으며, 아랫부분은 거친 돌의 질감이 살아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부드럽게 마감했다.
이외에도 최병훈 작가의 현무암 안내 데스크와 물푸레나무 수납장, 박원민 작가의 레진 안내 데스크, 김익영 작가의 도자 의자도 놓치지 마시라. 아무래도 일상에서는 아트 퍼니처를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박물관에서 나마 국내외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가들의 작품을 가까이 접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매력적이다. 오는 7월 15일 개관을 기념해 <공예, 시간과 경계를 넘다> <장인, 세상을 이롭게 하다> <자연에서 공예로> <자수, 꽃이 피다> 등 12개의 전시가 동시에 시작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정화 관장은 ‘공예는 동사 動詞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고 했다. 공예라는 것은 최종 결과물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만들어지는 과정과 기법, 재료와 장인 정신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제 멀리 해외에 나가지 않아도 서울공예박물관에서 21세기 공예의 새로운 개념을 만 날 수 있게 되었으니, 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이헌정, 최병훈, 김익영 작가가 각자 자신이 만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